print

“너무 저렴해” 강남 부자도 홀린 ‘델리 바이 애슐리’

이랜드킴스클럽, ‘델리 바이 애슐리’ 누적 100만개 돌파

‘델리 바이 애슐리’ 강남점에서 고객들이 델리를 구매하고 있다. [사진 이랜드킴스클럽]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이랜드킴스클럽이 선보인 델리 바이(by) 애슐리가 간편한 한 끼를 원하는 소비자를 겨냥한 전략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기존의 신선 식품 중심의 공간이 새로운 델리 식(食)문화 플랫폼으로 탈바꿈돼 신규 매장을 서울·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한다.

이랜드킴스클럽의 ‘델리 바이 애슐리’는 론칭 약 5개월 만에 누적 판매 100만개(3월~9월)를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랜드킴스클럽 관계자는 “델리 바이 애슐리 론칭 후 오픈 시간인 10시부터 대기하여 델리를 구매해 가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며 “시그니처 양념치킨, 연어 새우 후토마끼 처럼 베스트셀러 제품들은 셰프가 요리를 내놓는 즉시 대부분 품절된다”고 말했다.

오픈 4개 지점은 (강서점, 부천점, 강남점, 불광점) 델리 바이 애슐리 오픈 시간인 오전 10시부터 방문해 델리를 구매하려는 고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해당 지점의 아침·점심 시간대 (오전 10시~ 13시) 델리 바이 애슐리 구매 비율은 40% 수준이다.

지난 3월 첫 론칭한 ‘델리 바이 애슐리’는 이랜드킴스클럽 델리 전문 매장이다. 이랜드이츠가 운영하는 뷔페 ‘애슐리 퀸즈’에서 맛볼 수 있는 인기 메뉴를 원하는 만큼 집어 갈 수 있도록 200여 개 메뉴를 3990원에 일원화해 압도적인 규모로 선보인 것이 특징이다.

메뉴는 ▲일식 ▲중식 ▲웨스턴 ▲그릴 ▲아시안 푸드 ▲디저트 등 총 6개의 파트별 세계 미식 메뉴들로 이뤄졌다. 각 매장에서 ‘당일 생산’, ‘당일 판매’ 원칙 하에 셰프가 직접 요리해 곧바로 선보이는 형태다. 외식처럼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마트 델리 문화를 열었다는 평가다.

델리 바이 애슐리는 외식 대체제로 기능하며 집밥 간편식을 찾는 4050 주부 고객층은 물론, 젊은 고객층 사이에서도 SNS 등을 통해 입소문이 나며 2030 고객층을 집객하고 있다. 이랜드킴스클럽에 따르면 지난 8월 한 달간 3개 매장(강서점, 부천점, 강남점)에서 즉석조리 식품 카테고리를 이용한 2030 고객 수가 전년 대비 160 % 성장했다.

이랜드킴스클럽 관계자는 “전 연령층 타깃 성공 요인은 각 매장에서 직접 셰프가 요리하는 새로운 델리 미식 문화를 이끈 덕분”이라며 “델리 바이 애슐리는 마트의 집객 요인도 되지만 그 자체로 하나의 식문화 플랫폼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화투자증권, ‘제4회 연금 아카데미’ 성료

2증권가 경영승계 바람…오너 2‧3세 이사회 등판 본격화

3BYD 연차 보고서 분석해 보니…글로벌 완성차 업계 뒤흔든 이유 있다

4진에어, 식목일 맞이 ‘씨드깃발’ 증정 행사 진행

5홈플러스 “퇴직연금 적립금 1100억 미납…회생절차 따라 차질 없이 납입할 것”

6코스피, 2,450대서 등락…반도체주 큰폭으로 떨어져

7스마일게이트 오렌지플래닛 ‘부산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성료

8제주항공, 식목일 맞아 식물 키우기 키트 제공

9DK아시아, ‘로열파크씨티’ 입주민 파격 ‘혜택’,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과 지정병원 협약 체결

실시간 뉴스

1한화투자증권, ‘제4회 연금 아카데미’ 성료

2증권가 경영승계 바람…오너 2‧3세 이사회 등판 본격화

3BYD 연차 보고서 분석해 보니…글로벌 완성차 업계 뒤흔든 이유 있다

4진에어, 식목일 맞이 ‘씨드깃발’ 증정 행사 진행

5홈플러스 “퇴직연금 적립금 1100억 미납…회생절차 따라 차질 없이 납입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