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속 삶 꿈꾸는 중장년층 로망을 현실로" 경북 영양군에 귀산촌 시범마을

이번 추진전략은 산림대전환 사업의 일환으로, 경북의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해 일자리, 주거, 휴양을 제공하는 귀산촌 시범사업이다.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중장년을 위해 소득형, 자연형, 웰니스형 3개 모델을 제시하고 실제 귀산촌 생활을 해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첫 시범사업은 산림면적이 80%가 넘는 영양군에서 시작된다. 국가 명품숲에 선정된 자작나무 숲 등 우수한 관광자원과 전국 최대 산나물 생산지의 이점을 적극 활용해 3개 유형의 마을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소득형 모델로 '산채 스마트팜 혁신단지'를 조성한다. 일월면 일원에 2027년까지 120억 원을 투입해 전국 최초로 임대형 산채 스마트팜을 만들고 임대형 모듈러 주택 20동을 짓는다. 이곳에서는 중장년 귀산촌 예정자 20명이 산채를 재배하는 스마트팜과 임대형 모듈러 주택을 최대 5년간 임대받아 운영할 수 있다. 또, 지역 임업인과 협업해 재배기술을 습득하고, 공동 브랜드와 유통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바이오매스 연료를 활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 자립마을도 함께 조성된다.
자연체험형 모델로는, '산속 자연인 마을'을 만든다. 일월산 일원 공유림 300ha에 중장년층 20명이 임산물 생산이 가능한 공유림과 숲속의 집을 최대 3년간 임대해 산채, 두릅, 버섯 등의 임산물을 재배하며 자연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귀산촌인이 산촌 생활에 적응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기술 교육과 판로 지원, 지역 주민과의 네트워크 형성 등을 지원한다.
웰니스형 모델로는 '자작누리 명품 산촌마을'을 조성한다. 국내 최대 자작나무 숲인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에 중장년층 20명이 6개월에서 1년간 단기 체류할 수 있는 우드스테이와 워케이션 공유형 사무실을 조성한다. 이와 더불어 지역 상생형 사업으로 자작나무 특화거리, 로컬푸드 마켓 운영 등도 진행된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도시의 분주함을 뒤로하고 자연 속에서 숲과 함께하는 삶을 꿈꾸는 중장년층의 로망을 현실로 바꾸는 귀산촌의 성공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철 기자 thor010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2“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3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4“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5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6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7“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8‘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9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