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76% "트럼프 2기, 한국경제 불확실성 높일 것"
'자국 우선주의 강화 및 고강도 관세 정책' 요인

26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지난 7∼18일 중견기업 237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견기업계는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하는 요인으로 '자국 우선주의 강화로 인한 기업 부담 증가'(43.9%)가 가장 높았다.
뒤이어 '고강도 관세정책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35.9%), '대(對)중국 통제 강화에 따른 중국 리스크 증가'(13.3%) 순이다.
트럼프 당선인의 주요 공약 중에서는 관세정책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클 것(35.9%)이라고 답했다.
이어 통상정책(32.3%), 산업정책(17.3%), 환경정책(7.4%), 세제정책(3.6%) 순으로 조사됐다.
중견기업계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부의 최우선 대응 과제로 '경제안보 차원의 핵심산업 경쟁력 강화'(20.9%)가 시급하다고 답했다.
이어 '국내 산업 보호 및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한 정책 수립'(17.3%), '환율 변동성에 따른 정부 차원의 실물 경제 건전성 유지'(16.7%) 등이 핵심 과제로 꼽혔다.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 차원의 자구책으로는 환율 변동에 대비한 유동성 확보(31.7%), 수출시장 다변화(23.4%), 중국산 원·부자재 공급처 다각화(20.4%) 등이 제시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오랜 우방이자 한미동맹의 선린 우호 관계에 입각한 외교적 대응은 물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피할 수 없는 변화의 길목에 재도약의 모멘텀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 기업을 포함한 민간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중국서 다시 불붙은 '트럼프 변기 솔' 인기…반미 감정에 풍자 상품 재조명
21번지의 특별함 누리는 하이엔드 프라이빗 멤버스 클럽 ‘디아드’ 눈길
3그린알로에 알로에스테,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알로에화장품 부문 9회 수상
4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5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
6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7뉴로바이오젠, 미국 제약사와 6.5조원 규모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맺어
8 트럼프 칩수출 제한, 엔비디아 시간외거래에서 6% 급락
9갈 곳 잃은 건보료 327억원, 3년 지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