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전쟁에 카자흐 니어쇼어링 현상 多"
러 투자 기업, 영업 중단 및 철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3일 '러·우 사태에 따른 카자흐스탄 니어쇼어링 동향과 한국 기업의 카자흐스탄 진출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양국 정부 간 중점 협력 분야를 대상으로 한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을 분석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최대 경제 규모와 높은 인구 증가율, 풍부한 자원, 안정적인 투자 환경, 물류 허브 등의 장점을 앞세워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에 투자 진출했던 다수 기업이 현지 영업을 잠정 중단하거나 시장에서 철수, 또는 주변국으로 공급망을 이전했다.
이 가운데 카자흐스탄으로의 이전 및 신규 투자 진출이 증가하는 추세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이 같은 공급망 재편에 따른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각종 인센티브 제도를 정비하는 등 해외 기업의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직후인 2022년 카자흐스탄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281억달러로, 전년보다 18% 증가해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요 투자국은 네덜란드, 미국, 스위스, 중국, 러시아 등이다. 한국은 누적 투자액 181억달러로 9위를 차지했다.
해외 기업들의 주요 투자 산업은 광업, 제조업, 도소매업, 운송 및 창고업, 금융 및 보험업, 건설업 등이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기준 카자흐스탄 5대 투자국으로 꼽힌다.
한국의 투자 분야는 제조업,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등이 있다.
보고서는 "한국 기업이 카자흐스탄에 투자 진출할 때는 양국 정부 간 중점 협력 분야를 우선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현지 수요가 늘어나는 인프라 현대화 프로젝트, 기술 이전 및 교육을 통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현지 진출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정훈 코트라 알마티 무역관장은 "최근 카자흐스탄이 러시아의 대체 투자처로 떠오르며 공급망 재편의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며 "현지 정부의 투자유치 정책 및 주요 투자 유치 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최대한 활용하며, 현지 수요에 맞춘 차별화된 전략으로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정부,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로 확정
2코스피, 블랙먼데이 이겨내고 2% 내외 반등…반도체주 상승
3유니클로, 제주·대구 매장 오픈 예정...지역사회와 사회공헌 캠페인
4올 1분기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 1만2358가구…16년 만에 '최저'
5“취향대로 고르는 호캉스”...교원 스위트호텔 제주, 봄·여름 시즌 패키지 선봬
6코빗, 신한은행과 비영리 법인 가상자산 관리 서비스 시작
7메가스터디교육 중등 인강 엠베스트, 2026 영재학교 자기소개서 컨설팅 진행
8신세계까사, 3000세대 하이엔드 아파트 서초 ‘메이플자이’ 입주 공략
9삼성증권,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대행 서비스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