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美 국방장관, 한국 방한 보류 "적절한 시기 아냐"…일본만 방문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여파로 해석

오스틴 국방부 장관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동북아시아 지역 방문 때 한국은 건너뛰고 일본을 방문한다. 

5일(현지시각) 팻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오스틴 장관이 7일 캘리포니아주에서 개최되는 레이건 국방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는 일정을 소화한 뒤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라이더 대변인은 "오스틴 장관의 13번째 인도·태평양 방문인 이 일정은 역내에서 미국의 동맹·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평화, 안보, 번영에 대한 공동의 비전을 진전시키기 위한 국방부의 역사적 노력 속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오스틴 장관은 내주부터 일본과 한국을 잇달아 방문해 미일,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일본 교토통신이 보도했다.

그러나 이날 해외 방문 발표에서 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미 국방부 관계자는 오스틴 장관의 방문 일정과 관련한 연합뉴스의 서면 질의에 "이번에 오스틴 장관이 한국에 방문하는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뉴스맥스 등은 오스틴 장관이 당초 방한을 추진했으나 계엄 사태 이후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보고 방문 계획을 취소했다고 로이터 통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을 선포함에 따른 여파로 풀이된다. 또한 그에 따른 한국 국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오스틴 장관의 대화 상대방인 김용현 한국 국방부 장관의 사임 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4∼5일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던 제4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와 제1차 NCG 도상연습(TTX)도 계엄 사태 여파 속에서 무기한 연기됐다.

라이더 대변인은 향후 NCG 일정을 묻는 말에 "아직 업데이트로 제공할 게 없다"라면서 "한국에서의 이벤트를 고려할 때 이것(일정 연기)은 신중한 조치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라이더 대변인은 한국의 계엄 사태와 관련한 주한미군 태세 변화 여부를 묻는 말에는 "군 태세에는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는 여러 레벨에서 한국 국방부와 접촉을 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주의를 기울이고는 있지만, 작전적으로나 물리적, 안전 측면에서 (이번 사태에 따른) 주한 미군에 대한 어떤 중대한 영향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주한 미군 장병들이 자유롭게 외출하는지를 묻는 말에는 "내가 알기로는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2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3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4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5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6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7‘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8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

9LG이노텍, 반도체 부품으로 연 매출 3조 목표...車 AP 모듈 ‘출사표’

실시간 뉴스

1“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2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3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4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5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