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일동제약, 코로나19 치료제 허가 재추진...임상 추가 진행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일동제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인 엔시트렐비르 푸마르산의 국내 품목허가를 다시 신청한다고 19일  밝혔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 제품 허가를 받으려는 시오노기제약의 해외 사업 전략에 발맞추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일동제약이 신청한 기존 품목허가는 취하한다.

일동제약은 임상 결과를 추가해 품목허가를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추가할 임상은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에 노출된 경우를 대상으로 엔시트렐비르 푸마르산의 예방적 효과를 관찰한 것이다. 일동제약은 해당 임상 데이터의 분석·취합이 완료되면 국내 품목허가 절차를 다시 밟겠다는 계획이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해당 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돼 기존의 임상 데이터와 결합해 확대 적용하는 것이 약물의 효능과 가치를 보여주기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라며 “해당 임상 데이터를 분석·취합하는 작업으로 인해 (최종 품목허가가) 기존 허가 신청 절차의 진행 과정보다 늦은 시점에 완료될 수 있다”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2‘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3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4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5"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

6'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7“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8‘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9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실시간 뉴스

1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2‘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3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4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5"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