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무신사, 패딩·코트 혼용률 상시 점검한다…‘삼진아웃’ 제도 도입

패딩·코트류 다운(솜털)·캐시미어 혼용률 허위 기재 적발 시 삼진아웃
신규·기존 브랜드 모두 시험성적서 제출해야…논란 상품은 환불·퇴점 조치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무신사는 3일부터 겨울철 대표 의류 상품인 패딩과 코트류를 중심으로 소재 혼용률 광고의 진위를 상시 점검한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패딩의 보온용 충전재로 활용되는 다운(솜털)이나 고급 외투 소재인 캐시미어가 포함된 상품명을 가진 브랜드다.

무신사 스토어와 29CM(이십구센티미터), 무신사 글로벌 스토어 등 3곳에서 판매되는 해당 브랜드 상품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다.

무신사는 혼용률을 조작하거나 오기재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 대상 상품군의 상세 정보를 수시로 점검하고 세 번 적발되면 퇴출하는 '삼진아웃' 정책을 시행한다.

원부자재와 공임 등의 생산 원가 대비 가격이 지나치게 저렴해 혼용률 조작이 의심되는 상품에 대해선 무신사가 직접 상품을 구매해 성분 검사를 의뢰하는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한다.

입점 절차도 까다로워진다.

앞으로 무신사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에 신규 입점을 준비 중이거나 다운 또는 캐시미어 소재 제품을 판매할 예정인 브랜드는 전문 기관에서 공식 발급받은 시험성적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미 입점해 있는 브랜드도 시험성적서를 내지 않으면 무신사 내 판매가 중단된다.

무신사가 이처럼 강수를 둔 것은 소재 혼용률을 허위로 기재해 소비자 불만을 산 입점 브랜드 상품이 잇따라 적발돼 논란이 된 데 따른 것이다.

무신사 입점사인 인템포무드는 최근 상품 정보에 기재된 패딩 충전재 혼용률이 실제와 다르다는 사실이 드러나 구입 고객을 대상으로 전액 환불 절차를 진행 중이다.

국내 패션 브랜드인 라퍼지스토어도 덕다운(오리털) 아르틱 후드 패딩 등의 충전재 혼용률을 허위로 기재한 사실이 밝혀져 오는 4월 1일부로 무신사와 29CM에서 퇴점한다.

문제가 된 상품은 상품 정보에 충전재로 솜털 80%를 사용했다고 기재했으나 실제 사용률은 약 3%에 불과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다운 표기를 하려면 제품의 솜털 비율이 75% 이상이어야 한다.

이밖에 페플은 '임팩트 포켓 덕다운 패딩' 6종의 혼용률을 허위로 적어 환불을 진행했다.

무신사 관계자는 "고객 피해 회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이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중개 업체 의무 이상의 제도를 확립하고 안전한 온라인 쇼핑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당장의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더라도 투명한 거래 환경을 구축해 고객과 다른 입점 브랜드가 믿고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듀랑고가 돌아왔다’…넥슨, ‘메이플스토리 월드’에 ‘듀랑고: 잃어버린 섬’ 출시

2돈나무 언니 픽한 ‘AI계의 숨은 보석’ 1년간 500% 이상 폭등

3‘빽햄’ 악재에 휘청이는 백종원 회사...개미들도 분노

4최태원 등 사절단 미국 방문...대미 통상 협력 단추 꾈까

5필리핀 하원,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 탄핵

6 "천승휘가 항문 선생님으로"...추영우, 너드남으로 변신한 패션은?

7“여보, 신차 꿈도 꾸지마”...새해부터 자동차 안 팔린다

8‘원팀’ 향하던 혼다·닛산...‘합병 협상 중단’

9“역시 킹갓 부영”…부영그룹, 시무식서 출산장려금 28억 쐈다

실시간 뉴스

1‘듀랑고가 돌아왔다’…넥슨, ‘메이플스토리 월드’에 ‘듀랑고: 잃어버린 섬’ 출시

2돈나무 언니 픽한 ‘AI계의 숨은 보석’ 1년간 500% 이상 폭등

3‘빽햄’ 악재에 휘청이는 백종원 회사...개미들도 분노

4최태원 등 사절단 미국 방문...대미 통상 협력 단추 꾈까

5필리핀 하원,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 탄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