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韓 여성 고용률 하위권"…OECD 31위에 그쳐

2003년 이후 낮은 기록 여전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이 일자리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한국의 여성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 등 성평등 고용 지표가 지난 20년 사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따르면 OECD 38개 국가의 15∼64세 여성 고용 지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고용률은 61.4%, 경제활동 참가율은 63.1%로 모두 31위였다.

2003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여성 고용 지표 순위를 보면 고용률은 2003년 27위에서 20년 뒤 31위로 4계단 떨어졌다. 그 사이 순위는 한 번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32위에서 1계단 오르는 데 그쳤다.

특히 2021년 기준 한국에서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56.2%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 이상 국가, '30-50클럽' 7개국 중 가장 낮은 것이다.

한경협은 이들 7개국 중 여성 고용률이 70%를 넘어 높은 편인 독일, 일본, 영국 3개국과 한국의 고용환경을 비교한 결과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의 2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근로 시간을 주 단위로 제한해 1주 연장근로를 최대 12시간으로 한 반면 독일, 일본, 영국은 월 단위 이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한경협은 전했다.

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정책 지출 비중(2020년 기준)은 1.5%로, 독일(2.4%), 영국(2.3%), 일본(2.0%) 등 3개국 평균인 2.2%보다 낮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이 선진국처럼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자녀를 가진 여성인력 일자리의 유지와 확대가 중요하다"며 "근로 시간 유연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근로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을 강화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韓 찾은 ‘디트로이트의 유령’...돌아가는 GM 한국사업장 ‘철수 시계’

2韓 금융사, ‘IMF 철수 흑역사’ 태국 시장의 의미는

3‘반입 금지’ 몰랐다가 낭패 …日 여행 필수템 ‘이브’ 못 들여온다

4“벚꽃 위로 눈 날리고”…전국 강풍특보에 날씨 혼돈

5“또 꺼졌다” 부산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 ‘싱크홀 공포’

6 국힘 윤상현, 대권 도전 결심…이번주 출마 선언 전망

7“남자친구 있어요?” 더본코리아 ‘술자리 면접’ 논란에…고용부 나서

8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규모 상생협력 MOU 체결

9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실시간 뉴스

1韓 찾은 ‘디트로이트의 유령’...돌아가는 GM 한국사업장 ‘철수 시계’

2韓 금융사, ‘IMF 철수 흑역사’ 태국 시장의 의미는

3‘반입 금지’ 몰랐다가 낭패 …日 여행 필수템 ‘이브’ 못 들여온다

4“벚꽃 위로 눈 날리고”…전국 강풍특보에 날씨 혼돈

5“또 꺼졌다” 부산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 ‘싱크홀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