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중국인, ‘韓 정치 안정화’ 전까지 투자 멈출 수도...“정책 마비 우려”

중국서 韓 투자 비관론 속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15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의 한 호텔에서 한중 정상회담 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한국의 정치상황이 안정화되기 전에는 중국인들이 투자를 멈출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소 6개월의 정책 마비 가능성이 있는데다 다음 지도자에 대한 확실한 정보가 보이지 않다는 것이 이유다.

9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한국의 정치적 위기가 가라앉을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중국 사업가들이 선택 사항을 두고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지 분석가들은 중국의 무역상, 투자자, 관광객이 앞으로 몇 달 동안 한국의 장기적인 정치적 혼란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잠시 멈추어 살펴볼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여기에 일부는 상황이 더 안정될 때까지 사업이나 활동을 완전히 중단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닉 마로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 아시아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서울에서 더 많은 시위가 일어날 가능성과 향후 6개월 동안 추가적인 "정책 마비"가 발생할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중국 투자자를 비롯한 국제 투자자들은 한국을 고조된 위험의 관점에서 바라볼 것이고, 그것은 의사결정과 계획된 투자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한국 직접 투자액은 전년 대비 266.1% 증가한 58억달러(약 7조3000억원)에 달했다. 반면 한국의 대(對)중국 투자 규모는 지난해 5월을 기준으로 연간 1013억달러(약 148조원) 수준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와’ 애플·엔비디아 등 美 'M7' 시총 2700조원 ‘폭등’…왜?

2우리은행,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자산 효율성 높인다

3관세 90일 유예...한시름 놓은 삼양식품, 향후 대책은

4비피엠지, 신규 서비스 및 일본 진출로 생태계 확장 본격화

5이재명, 21대 대선 출마 선언…"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6중국 지역 특색 맞는 균형 전략 추진한다

7트럼프發 훈풍에 코스피 5% 급등…사이드카 발동

8 이재명, 대선 출마 선언 "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9'13남매' 남보라 "최소 3명 낳고 싶은데"..'충격' 소식 전해졌다

실시간 뉴스

1‘와’ 애플·엔비디아 등 美 'M7' 시총 2700조원 ‘폭등’…왜?

2우리은행,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자산 효율성 높인다

3관세 90일 유예...한시름 놓은 삼양식품, 향후 대책은

4비피엠지, 신규 서비스 및 일본 진출로 생태계 확장 본격화

5이재명, 21대 대선 출마 선언…"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