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N잡러' 시·공간 제약없이 활동 '장점'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본업 외 부업으로 활동하며 월 1,000만 원 이상의 부수입을 올린 'N잡러'들이 연일 화제다.
2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본업 외에 부업으로 활동하는 '보험설계사'가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이들이 보험설계사를 선택한 이유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업으로 활동하는 설계사를 위촉하는 회사는 롯데손해보험과 메리츠화재 등이 있다.
롯데손보는 2023년 12월 모바일 영업지원 플랫폼 ‘원더’를 출시한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1년간 위촉한 N잡러 설계사인 ‘스마트 플래너’는 3천여명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롯데손보의 전속설계사가 581명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숫자다.
특히 최적화된 플랫폼 '원더'를 활용해 보험설계사 자격 취득부터 상품계약 수익 창출까지 전 과정을 스마트폰으로 수행하는 점이 돋보인다.
지난해 3월 N잡러를 겨냥한 비대면 영업 플랫폼인 메리츠파트너스를 출시한 메리츠화재는 후발주자지만, 지난해 12월까지 위촉한 설계사는 4544명에 달해 롯데손보를 추월했다.
위촉된 파트너스 설계사 가운데 지난해 12월 기준 활발히 활동한 설계사는 약 1,200명으로 전체의 27% 가량 된다. 4명 중 1명은 본업 외 추가소득을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회사 측은 메리츠 파트너스로 활동 중인 이들은 한 달 평균 148만원(작년 11월 기준)의 가외수입을 챙겼고, 일부는 월 1,000만원 이상의 부수입을 올렸다고 밝혔다.
한편 메리츠 화재가 지난해 11월 메리츠 파트너스 99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251명 중 절반 이상인 52%가 다른 부업이 아닌 보험설계사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아서’라고 응답했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대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부터 피부관리실 사장님 등 자영업자, 의사와 같은 전문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파트너들이 메리츠화재에서 N잡러로 뛰고 있다"면서 "모든 게 낯선 N잡러로서 쉽게 보험설계사로 활동이 가능하도록 1대1 멘토가 배정된다는 점이 차별 지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2美 트럼프 관세 정책에 한국 기업 전전긍긍…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
3주택연금 인기 부활 이유 살펴봤더니…
4여교사에 성적 수치심 유발…소송까지 간 중학생, 결과는
5세계는 ‘딥시크’ 충격, 개발 비용 두고 설왕설래…557만달러 vs 5억달러
616주 동안 올랐던 기름값…이번 주 떨어지나
7中 ‘트럼프 관세’에 맞대응…”펜타닐은 미국의 문제”
8 中, 트럼프 관세에 "WTO 제소…상응 조치 취할 것"
9 캐나다도 즉각 보복관세…미국산에 25%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