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자영업자 10명 중 4명 “장사 접을 판...매출·순이익 모두 ‘뚝’”

응답자 61% "올해도 떨어질 것…6~7% 감소"

사진은 서울 명동 거리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가계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지난해 자영업자들의 사업 실적이 10% 이상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매출 감소율은 약 13%로 10명 중 4명은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으로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먼저 자영업자 72.6%는 2024년 매출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감소 폭은 12.8%다.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도 72.0%를 차지했고 평균 감소 폭은 13.3%로 집계됐다.

자영업자들은 올해도 경영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매출과 순이익이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 자영업자는 각각 61.2%, 62.2%였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한 매출과 순이익 평균 감소 폭은 6.5%, 7.2%다.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경영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2024년 기준 1억 2000만원이다. 월 이자 부담액은 84만 3000원으로, 연평균 8.4%의 이자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 소액 대출 금리가 6.9%인 점을 감안할 때, 상당수 자영업자가 은행 대출 이외에 제2금융권 등에서 대출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자영업자 43.6%는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 사정 악화 및 대출 상환 부담(18.1%) ▲임차료, 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을 꼽았다.

올해 예상되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이 가장 많았다. 정부 지원 대책으로는 대출 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와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2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3“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4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5“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6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7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8“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9‘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실시간 뉴스

1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2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3“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4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5“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