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10명 중 4명 “장사 접을 판...매출·순이익 모두 ‘뚝’”
응답자 61% "올해도 떨어질 것…6~7% 감소"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가계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지난해 자영업자들의 사업 실적이 10% 이상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매출 감소율은 약 13%로 10명 중 4명은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으로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먼저 자영업자 72.6%는 2024년 매출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감소 폭은 12.8%다.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도 72.0%를 차지했고 평균 감소 폭은 13.3%로 집계됐다.
자영업자들은 올해도 경영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매출과 순이익이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 자영업자는 각각 61.2%, 62.2%였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한 매출과 순이익 평균 감소 폭은 6.5%, 7.2%다.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경영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2024년 기준 1억 2000만원이다. 월 이자 부담액은 84만 3000원으로, 연평균 8.4%의 이자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 소액 대출 금리가 6.9%인 점을 감안할 때, 상당수 자영업자가 은행 대출 이외에 제2금융권 등에서 대출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자영업자 43.6%는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 사정 악화 및 대출 상환 부담(18.1%) ▲임차료, 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을 꼽았다.
올해 예상되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이 가장 많았다. 정부 지원 대책으로는 대출 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와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2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3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4‘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5"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6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7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8“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9‘AG 피겨 金’ 차준환 선수, 여의도 KB금융 방문한 사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