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안쓰면 손해” K-패스 이용자 300만명 넘어…월평균 1만8000원 환급

월평균 청년층 2만원·저소득층 3만7000원 환급
12개 카드사 36종 카드 이용 가능

서울 서대문구 신촌 연세로에 버스가 오가는 모습.[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K-패스 출시 10개월 만인 지난달 26일 기준 이용자가 300만명을 넘어섰다고 3일 밝혔다.

작년 5월 1일 출시된 K-패스는 월 15번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월 최대 60번(일 최대 2번)까지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도록 한 교통카드다.

일반인은 20%, 청년층(만 19∼34세) 30%, 저소득층은 53.3%를 환급받을 수 있다. 또 다자녀 환급을 통해 자녀가 2명이면 30%, 3명 이상이면 50%가 환급된다.
 
서비스 시작 당시 기존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한 회원과 신규 회원을 합쳐 약 110만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이후 지난해 8월 초에는 200만명을 넘어섰고, 작년 말 기준으로는 265만명이었다. 올해 들어서는 매주 약 4만명이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K-패스 일반 이용자들은 월평균 대중교통비 6만8000원의 26.6%인 1만8000원을 환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과 저소득층은 각각 2만원, 3만7000원을 돌려받았다.

지난해 11월 조사 결과 이용자 1만3000여명 중 92.4%가 K-패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K-패스 도입 이후 월평균 대중교통 이용 횟수는 26.4회에서 32.7회로 6.3회 늘었다.

K-패스는 올해 210곳의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더 경기패스, 인천I-패스, 부산 동백패스, 세종 이응패스, 광주G패스, 경남패스 등 6곳의 광역 지자체와 연계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광위는 이달 중 K-패스 앱과 누리집을 개선해 이용자 편의를 확대할 예정이다. K-패스는 현재 총 12개 카드사에서 발급하는 36종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2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3“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4‘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5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6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7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8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9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실시간 뉴스

1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2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3“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4‘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5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