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안전에 ‘진심’ 볼보...“AI 활용해 사고 예방 강화”
- AI 기반 가우시안 스플래팅 기술 도입
잠재적 사고 시나리오 분석 가능해져

볼보자동차는 최신 모델에 탑재된 첨단 센서를 활용해 수집된 사고 데이터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AI가 생성한 가상 환경을 통해 사고 상황을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긴급 제동, 급격한 조향 변경, 수동 개입 등의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보다 효과적인 사고 예방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볼보자동차는 ‘가우시안 스플래팅’(Gaussian Splatting)이라는 첨단 컴퓨테이셔널 기술을 활용해 고해상도의 3D 가상 환경을 구현한다. 이 기술은 실제와 유사한 도로 환경을 생성하며, 보행자 추가·제거, 교통 상황 변경, 장애물 배치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현실적인 교통 환경을 반영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안전 소프트웨어 검증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볼보자동차의 설명이다.
볼보자동차는 엔비디아 DGX 시스템 기반의 AI 슈퍼 컴퓨팅 플랫폼을 차세대 전기차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차량 내부 및 외부에서 수집된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차량 주변 상황을 보다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AI 개발 속도를 향상시켜 실시간 데이터 학습 및 안전성 강화를 추진한다.
알윈 바케네스 볼보자동차 글로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총괄은 “우리는 수백만 개의 실제 사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가우시안 스플래팅 기술을 활용해 개별 사례마다 수천 가지의 변형된 사고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규모의 데이터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실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볼보자동차는 1970년대부터 자체 안전 연구팀을 운영하며, 실제 사고 현장에서 데이터를 수집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경추 보호 시스템, 측면 충돌 보호 시스템 등 다양한 안전 기술을 개발해왔다.
최근에는 AI 및 소프트웨어 자회사 젠스액트(Zenseact)와 협력하여 가상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훈련하고 검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를 바탕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제프 베이조스 “AI, 버블 맞지만 강력한 혁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김경문 감독 "김서현 없었으면 2위까지 못 왔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국가전산망 장애 담당 공무원, 세종청사서 투신해 사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선순환 사례 등장"…자국에 5.6조 투자 약속한 英 스타트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암초 만난 인체조직 스킨부스터...김근영 한스바이오메드 대표 “사업 영향 제한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