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유연화 기대에 급등…나스닥 2.27%↑
다우 1.4%·S&P 500 1.8%↑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97.97p(1.42%) 오른 42,583.3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드더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0.01p(1.76%) 오른 5,767.5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4.54p(2.27%) 오른 18,188.59에 각각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오는 4월 2일 발표가 예정된 상호관세 계획과 관련, 일부 국가를 상대로 관세 부과를 면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회견에서 상호관세의 일부 면제 가능성에 대해 "나는 많은 국가(a lot of)에 면제를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것은 상호적이지만 우리는 그것(상대국의 관세)보다 더 좋게 대할(nice)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 전에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지만, 관세가 촉발한 경제 불확실성으로 최근 몇 주 새 증시 변동성 확대를 겪은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일부 면제 관련 발언에 주목하며 낙관론을 키웠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매체들이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 관세 발표 때 품목별 관세를 동시에 발표하는 것은 보류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한 것도 이 같은 낙관론을 뒷받침했다.
무역전쟁이 격화 우려가 완화되면서 경기 민감주들이 특히 상승 폭을 키웠다.
경기에 민감한 S&P 500 임의소비재 업종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7%나 급등했고, 중소형 종목으로 구성된 러셀2000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2.55% 상승했고,
테슬라는 무역전쟁 우려 완화와 직원들을 상대로 "주식을 팔지 말라"고 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 발언 등에 힘입어 이날 11.93% 급등했다.
엔비디아(3.15%), 메타(3.79%), 알파벳(2.25%) 등 최근 조정 국면에서 낙폭이 컸던 대형 기술주들도 강세로 마감하며 이날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다만, 월가에서는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미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지 않은 상황에서 당분간 증시 변동성 확대가 지속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벌 최고 투자전략가는 "투자자들이 약간의 안도감을 느끼고 있지만 동시에 이것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인위적인 증시 조정을 초래한 원인은 아직 사라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이재명 “尹 복귀는 제2계엄 의미”...국민의힘은 이재명 등 72명 '내란음모' 고소
2'트렌드웨이브 2025' 초호화 라인업에 이어 中 무형문화재 작가들과 협업 공개
3윤하 남편 정체 밝혀졌다! 44만 유튜버?…학력 살펴보니
4최여진, 7살 연상 불륜 의혹에…'예비 남편' 전 부인까지 언급?
5기아, EV4에 패션 더했다… 무신사와 콜라보 마케팅 나서
6오타니 카드값 무려 '15억'…몸값만큼 엄청난 '억소리'
7작년 4분기 꼼수 가격 인상 '슈링크플레이션' 적발…9개 상품
8BC카드, 트래블월렛과 손 잡고 페이북에 외화결제 서비스 탑재
9KGM, 봄맞이 차량 점검 서비스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