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주택이 복지?”…빗썸, 전·현직 임원들 116억 사택 논란에 ‘눈살’
전·현직 임원 4명에게 총 116억원 사택비 지원
금감원 “기본적인 내부 통제 없어…제도 보완 시급”

금감원은 25일 브리핑을 통해 빗썸의 사택 지원 제도 운영 실태를 점검한 결과, 내부 통제 절차가 미흡하여 임직원들이 사택 임차비를 개인적인 용도로 유용한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김대식 전 빗썸 대표이자 현재 고문인 인물이 있다. 김 전 대표는 로스앤젤레스 반포 원베일리 분양주택 잔금을 납부하기 위해 빗썸이 사택으로 임차하는 것처럼 가장해 보증금 11억원을 지급받았다. 이후 해당 주택을 빗썸의 사택으로 사용하지 않고 제3자에게 임대하여 28억원의 보증금을 수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 전 대표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빗썸 대표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사장 직함을 가진 고문으로 재직 중이다.
또한 지난해 6월에는 현직 임원 A씨가 본인 사용 목적의 고가 사택(임차보증금 30억원)을 스스로 결정하여 제공받은 사실도 확인됐다. 이 밖에도 다른 전직 임원 2명에게 각각 18억원과 19억원의 사택 임차비가 제공된 사례도 있었다. 이에 따라 빗썸은 전·현직 임원 4명에게 총 116억원 규모의 사택 지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금감원은 빗썸이 사택 지원 제도를 운영하면서 지원 한도와 기간, 보증금 회수 등과 관련한 내규와 내부 통제 절차를 마련하지 않아 관리 소홀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임직원들이 이해상충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사택 임차비를 사용한 점을 문제 삼았다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가상자산 사업자는 금융권에 편입되지 않았으나 주식회사로서 기본적인 내부 통제는 필요하다”며 “이번 사안은 내부 통제 미비로 인한 개인적 일탈 사례로 볼 수 있지만,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금감원 조사를 거쳐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로 넘겨졌으며, 검찰은 빗썸 본사를 비롯한 관련 장소를 압수수색하며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빗썸은 금감원 지적 사항에 대해 성실히 소명하고, 부당하게 사용된 보증금을 회수하는 한편 관련자들에 대한 인사 조치를 단행했다.
빗썸 측은 “임직원 복지 증진과 핵심 인력 유지를 위해 사택 지원 제도를 운영해 왔으나,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반적인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내부 통제 강화를 추진하겠다”며 “이해상충 소지가 있는 부분은 더욱 면밀히 점검하여 운영할 계획이며, 임직원의 일탈 방지를 위해 불공정거래 신고 포상제도를 업무 전반으로 확대해 통제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이재명 “尹 복귀는 제2계엄 의미”...국민의힘은 이재명 등 72명 '내란음모' 고소
2'트렌드웨이브 2025' 초호화 라인업에 이어 中 무형문화재 작가들과 협업 공개
3윤하 남편 정체 밝혀졌다! 44만 유튜버?…학력 살펴보니
4최여진, 7살 연상 불륜 의혹에…'예비 남편' 전 부인까지 언급?
5기아, EV4에 패션 더했다… 무신사와 콜라보 마케팅 나서
6오타니 카드값 무려 '15억'…몸값만큼 엄청난 '억소리'
7작년 4분기 꼼수 가격 인상 '슈링크플레이션' 적발…9개 상품
8BC카드, 트래블월렛과 손 잡고 페이북에 외화결제 서비스 탑재
9KGM, 봄맞이 차량 점검 서비스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