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표류 서울은행 새임자 찾기 급물살
| 서울 남대문로 서울은행 본점 전경 | 5년 가까이 방황해온 서울은행이 이번엔 과연 종착역에 이를 수 있을까? 국내외를 막론하고 일단 매각쪽으로 입장을 굳힌 정부가 7월 내에 결론을 내린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런 가운데 조만간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이 이뤄지는 등 매각작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서울은행은 지난해부터 경영 상태가 조금씩 나아지면서 이른바 ‘돈버는 은행’으로 거듭났다. 정부로선 지난 몇 년 전보다는 다소 느긋해진 상태다. 다만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한 만큼 이를 회수하기 위해서도 신속한 처리가 불가피한 상황인 것만은 분명하다. 정부와 금융계에 따르면 서울은행의 매각 주간사인 골드만삭스가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10여개 기관 중에서 이미 국내외 2∼3개사를 추렸고 이들이 지난 주말부터 이미 서울은행에 대한 실사에 들어간 상태다. 물론 실사 자체가 인수로 직결되진 않는다 하더라도 서울은행의 현황이나 정부의 방침 등을 감안할 때 이번에 매각이 성사될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크다는 관측이다. 서울은행은 지난 1997년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부실기업 여신 등으로 경영이 악화됐고, 이듬해인 98년 1월 정부가 공적자금을 넣어 출자를 단행했다. 그러나 그동안 서울은행 매각작업은 최종 결론을 눈앞에 두고 원점으로 돌아오는 과정을 되풀이했다. 지난 99년에는 홍콩상하이은행(HSBC)과의 협상이 무위로 돌아갔고, 한때 경영에 참여했던 도이체방크가 인수할 것이란 루머도 나돌았다. 또 지난해 6월에는 서울은행이 미국계 투자 컨소시엄에 매각될 것이란 소문도 퍼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를 중심으로 강정원 서울은행장이 홍콩에서 미국계 투자펀드 대표와 협상을 갖고 조만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지는 못했다. 이러다 보니 여러번 동네사람들을 속인 ‘양치기 소년’ 우화처럼 서울은행 매각건은 ‘으레 해보는 얘기’쯤으로 치부됐다. 그러나 요즘 분위기론 전윤철 부총리가 수없이 되풀이했던 ‘7월 말까지 결론’ 방침이 현실이 될 수도 있을 전망이다. “해외매각이다” “지주회사로의 편입이다” 그동안 여러 차례 처리 방침 자체가 바뀌어 왔지만 현재 정부의 입장은 분명하다. 서울은행을 매각하되 우량은행과의 합병을 가장 먼저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정부의 입장은 인수의향서 접수 과정에서도 잘 드러났다. 그동안 꾸준히 서울은행에 눈독을 들여온 동부그룹과 동원그룹 컨소시엄은 정부 의중을 간파하고 아예 인수의향서 접수를 포기할 정도였다. 실제 동부 컨소시엄 관계자는 “이번 서울은행 인수전에 우량은행들이 뛰어드는 등 당초 인수전 환경과는 많은 변화가 있어 인수의향서를 제출하더라도 실익이 없다고 판단해 이번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우량은행을 제외할 경우 가장 강력한 인수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던 기업들이 손을 든 이후 우량은행인 하나은행과 외국계 펀드 간의 경쟁으로 압축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코메르츠방크가 외환은행에 공적자금을 투입하지 않은 점을 서운하게 여기기 때문에 정부에서 ‘배려’해 줄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었지만 설득력은 크지 않아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우량은행 합병을 제1순위로 추진한다는 원칙을 거듭 확인하면서 “이를 위해 인수 희망자를 평가할 때 가격뿐 아니라 인수능력과 향후 경영능력 등도 종합적으로 감안하게 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우선협상 대상자는 한 곳만 선정될 가능성이 크지만 인수 희망자들이 제시하는 조건에 따라 복수가 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가에서는 인수 가능성과는 무관하게 일단 하나은행의 우세를 높게 점치고 있다. 외국계 펀드의 경우 과거 서울은행과 도이체방크 간 협상이 결렬됐다는 사실과 함께 HPI 등 투자펀드들로서는 여러 투자자들을 모으는 일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국내 경쟁자에 비해 불리할 수도 있다는 예상이다. 결국 우선협상 대상자가 누가 될지는 정부가 매각가격의 적정성, 공적자금 회수 가능성, 합병은행의 경쟁력 확보 등을 고려해 어떠한 정책적인 결단을 내릴지가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수 원매자들은 지난 주말에 서울은행 실사를 시작해 약 20일 정도 진행한 뒤 정부측에 인수대금을 포함한 구체적인 조건을 제시하게 된다. 정부와 주간사는 이들이 제시하는 인수조건을 심사한 뒤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해 이르면 7월 말이나 늦어도 8월 초쯤에는 구속력 있는 매각 양해각서를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