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정부에서 북한 위험 커져
MB 정부에서 북한 위험 커져
▶지난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북한 인민군 297부대를 시찰 중 여군들과 만나고 있다. |
2008년 2월에 실시된 한반도 안보지수 조사 결과 ‘종합현재지수’는 2007년 4분기에 비해 2.09포인트 하락한 51.67로 나타났다. 지수가 50선을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각국 전문가들이 한반도 상황을 지난 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여전히 낙관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난 3개월간 한반도 안보상황에는 특별한 쟁점이 없었음에도 지수가 다소 하락한 것은 의외의 결과로 여겨진다. 지수가 하락한 이유는 각국 전문가들이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한국과 북한, 그리고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특히 남북관계에 변화가 생겼다”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최근 북한을 둘러싼 긴장 조짐이 향후 얼마나 확대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다수 전문가는 그다지 크게 우려할 만하지는 않다고 대답하고 있다. 우선 북한의 최근 움직임은 새로 출범한 이명박 정부를 겨냥한 초반 기선잡기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얻을 것이 많았던 기존의 대북정책을 뒤집고 있는 이명박 정부가 못마땅한 북한으로서는 가만히 지켜보고 있을 수만은 없을 것이다. 반면 자신의 최대 우방인 중국이 오는 8월 올림픽이라는 커다란 국제행사를 열고 이를 바탕으로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꿈꾸고 있는 상황에서 지나친 행동이 자칫하면 잔칫집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사실도 간과하기 어려울 것이다.
중국 변수는 주춤 이번 조사결과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로 일본이 과거와 달리 현재와 미래 각각 54.84와 57.80으로 여타 국가들에 비해 가장 안정적으로 평가된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일 관계’가 57.67과 66.19, ‘일본 핵심 리더십의 한국에 대한 인식’이 60.51과 67.61로 높게 평가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일본 측 전문가들이 이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이명박 정부 출범과 더불어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한 일본의 높은 기대치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중국은 51.99와 51.70으로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다른 국가들의 약진에 비해서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들은 동북공정의 영향이 크다고 지목하고 있다. 동북공정에 대한 평가도 엇갈리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측 전문가들은 낙후된 중국의 동북지방 경제 부흥책이라는 시각이다. 그에 반해 한국·미국·일본 측 전문가들은 중화민족주의의 팽창과 중국의 주변국 영향력 강화라는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또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한·미, 한·일 관계 등을 중시하는 움직임에 비해 한·중 관계를 중시하는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지 않다는 점에 대해 중국 측이 다소 불만을 나타낼 수 있다는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008년 1분기 KPSI 조사 결과 가장 큰 특징은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움직임이 뚜렷한 반전을 보였다는 점이다. 그동안 다소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했던 미국 및 일본 변수가 긍정적 요인으로 전환된 반면 가장 긍정적으로 작용하던 북한 변수가 가장 불안정한 요인으로 반전된 것이다. 또 현재 한반도 안보환경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는 북한 변수에도 불구하고 KPSI는 안정적인 점수를 보이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된다. 즉 한반도는 국제정치역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곳이기 때문에 북한의 행동만 보고 일희일비해서는 안 된다는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한반도 안보지수는… |
5개국 한반도 전문가 50명이 평가 삼성경제연구소가 2005년 11월부터 지금까지 8차례에 걸쳐 한국·미국·중국·일본·러시아의 한반도 전문가 5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왔다. 조사는 6자회담 당사국인 여섯 개 국가를 한반도 안보상황을 결정짓는 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계량화해 주가지수와 같은 ‘한반도 안보지수(KPSI : Korean Peninsula Security Index)’를 만들고 이를 해석하는 종합보고서를 작성했다. 분기별로 작성되고 있는 한반도 안보지수는 현재의 상황을 말해주는 ‘현재지수’와 미래상황(현재 기준 3개월 후)을 예측하는 ‘예측지수’로 구성되며 50점을 기준으로 50을 넘으면 호전 또는 양호한 상태, 50에 미치지 못하면 악화 또는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조사 착수 이래 전문가들은 2006년 말 북핵 위기 가능성, 2007년 초 한국 국민의 테러목표 가능성, 2007년 하반기 북·미 관계 진전 등을 정확하게 예측해 조사의 신뢰성을 입증한 바 있다. 즉 한반도 안보지수는 현재 및 미래의 안보 흐름을 종합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북핵 문제를 비롯해 각국의 상관관계를 한눈에 파악함으로써 향후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들을 사전에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 지수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경우 현재 상황은 물론 단기적 미래의 안보상황에 대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안보환경이 기업 활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그렇게 많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이 문제는 마치 공기와도 같아 있을 때는 모르지만 없을 때는 생명을 위협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뤄야 할 것이다. 또 한반도 안보환경을 종합적인 변수들로 구성해 숫자로 표현함으로써 어느 한 변수에 매몰돼 한반도 안보환경을 과장되게 비관적으로 보거나 또는 너무 낙관적으로 보는 오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와 같이 남북관계가 급랭되고, 북한이 연일 대남 강경발언을 쏟아놓고 있는 경우 이 문제에 매몰돼 한반도 안보환경이 대단히 불안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조사에서 나타났듯이 북핵 문제 및 남북관계와 관련된 북한 변수는 비관적인 점수가 나온 반면, 그동안 비관적인 점수를 유지했던 미국 및 일본 변수가 긍정적으로 나옴으로써 전반적으로 한반도 안보환경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온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반도는 다양한 안보관련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지정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북한 문제는 이제 단순히 남북 간의 문제를 넘어 국제적인 사안으로 확장된 지 오래다. 한국 경제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세계 경제가 글로벌화하면서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보변수는 단순히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잡 다변화된 안보환경을 종합적으로 조망,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바로 한반도 안보지수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