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반정 때 ‘뇌물 공신’ 확 늘어
중종반정 때 ‘뇌물 공신’ 확 늘어
|
왕도 마음대로 못한 관리 임용 임사홍이 시대를 뛰어넘는 ‘과학적 지식’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성종 시대의 권력층 ‘훈구파’의 일원이었다. 천재지변의 불똥이 자신들에게 튈까 전전긍긍하다 성종에게 ‘거짓부렁’을 전한 것이었다. 지금은 늘 있는 일이지만 임사홍은 ‘거짓말 보고’ 후 수많은 사대부의 표적이 됐다. 온갖 비난의 화살이 그의 몸에 꽂혔던 것. ‘화’를 피할 요량으로 사대부의 덕목인 명예를 버렸다는 게 이유였다. 조선시대 관리들이 가장 무서워한 것은 파직도, 죽음도 아니었다. 강직함과 명예였다. 국왕에게 진언하지 못한 관리들은 종종 ‘폄론(貶論: 남을 깎아내려 헐뜯음)’을 당했는데, 임사홍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명예를 중시한 탓에 부정한 방법으로 관리에 임용되는 것도 용납되지 않았다. 조선은 ‘깜도 안 되는’ 낙하산 인사들이 감히 활개를 칠 수 있는 그런 나라가 아니었던 것이다. 실제 조선시대의 관리임용 절차는 무척 까다로웠다. 관리 후보에 대한 인물 검증도 철저하게 이뤄졌다. 낙하산 인사가 발을 붙일 틈이 없을 정도였다. 이조(吏曹)와 병조(兵曹)는 도목정(都目政: 정기인사)이나 공석이 생겼을 때 해당 관직의 적임자를 추천했다. 대개 후보자 3명을 왕에게 보고했는데, 이를 ‘삼망(三望)’이라고 한다. 국왕은 후보 3명 중 한 명의 이름에 점을 찍어 적임자를 결정했다. ‘낙점(落點)’이라는 단어의 근원이다. 하지만 낙점이 곧 ‘합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사헌부, 사간원 등 대간은 국왕이 낙점한 후보를 꼼꼼하게 검증했다. 본인은 물론 조상의 흠결까지 샅샅이 훑었다고 한다. 이런 검증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제 아무리 국왕이 낙점한 후보라도 관직에 나갈 수 없었다. 이는 왕의 자의적 권력 행사를 견제함과 동시에 실무자들의 정실인사를 방지하는 제도적 장치로 보인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이덕일 소장은 “조선시대의 관리임용은 엄격한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며 “능력 없는 사람이 관직을 제수 받는 일은 일반적으로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늘 그랬던 것은 아니다. 정치가 불안정하면 낙하산 인사가 기승을 부렸다. 수양대군(세조)이 실권을 잡은 계유정난(1453) 직후, 낙하산 인사가 속출했던 것은 단적인 사례다. 계유정난의 주역 한명회는 수양대군의 권력을 이용, ‘백두’에서 핵심 권력층으로 부상했다. 수양대군의 처남, 한명회의 동생 한명진, 6촌 동생 한명구, 천인 출신 임자번도 계유정난의 공적을 인정받아 공신에 책봉되는 영예를 누렸다. 계유정난으로 조선시대 초유의 낙하산 부대가 탄생한 셈이다.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옹립된 사건인 중종반정(中宗反正·1506) 직후에도 논공행상이 판을 쳤다. 중종 반정의 애초 공신은 101명. 하지만 어느 샌가 117명까지 늘어났는데, 대부분 뇌물 때문이었다고 한다. 뒷 거래로 공신 대열에 합류한 사람이 그만큼 많았던 것. 또 공신들의 능력 없고 비루한 친인척들도 대거 공신 책봉을 받았다. 반정의 주역 박원종 일가에선 사촌 박이검, 박이온, 생질 한세창, 한숙창, 이맹우, 처남 윤여필 등 총 6명이 공신 반열에 올랐다. 유순정 일가에서도 아들 유홍을 필두로 조카 유영과 생질 등 7명이 공신에 책봉됐다. 또 다른 중종 반정의 일등공신 성희안 일가도 마찬가지였는데 아들, 동생, 조카, 매부, 이종사촌, 사돈 등 6명이 ‘공신 배지’를 달았다. 1519년 조광조가 ‘위훈(공 없이 책봉된 거짓 공신) 삭제 운동’을 일으켜 117명의 공신 중 76명의 자격을 박탈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는 낙하산 인사에 대한 조광조의 처단 방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낙하산들’ 횡포와 전횡 일삼아 조선시대 낙하산 인사들은 횡포와 전횡을 일삼았다. 세조 시절, 대표적 낙하산 인사로 손꼽히는 홍윤성의 일화 한 토막. 세조가 온양온천에 가기 위해 천안 삼거리를 지나고 있을 때였다. 한 아낙네가 버드나무 위에서 통곡하고 있는 게 아닌가. 발걸음을 멈춘 세조는 “자세히 알아보라”는 영을 내렸다. 하지만 아낙네는 한사코 국왕 아니면 말을 하지 않겠다고 버텼다. “공신들의 말은 한 걸음 뗄 때마다 달라진다”는 게 입을 꽉 다문 이유였다. 우여곡절 끝에 국왕 앞에 당도한 아낙은 자신이 홍윤성의 숙모라고 소개하면서 그의 전횡을 낱낱이 고했다. “…홍윤성이 백두였을 때 숙부인 내 남편이 그를 보살폈습니다. 그런데 공신이 되고 난 뒤 아는 척도 안 하더니 이제는 가진 땅을 모두 내놓으라고 협박을 하고 있습니다….” 낙하산 인사 홍윤성의 횡포 수준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후한(後漢) 때 장안에선 “양의 위장 굽는 사람이 기도위(황제를 호위하는 기병의 관직)가 되고, 양머리 굽는 사람이 관내후(조정의 녹을 받는 사람) 됐네”라는 뼈 있는 농담이 떠돌았다고 한다. 자격도 없는 사람들이 높은 관직을 멋대로 차지하는 세태를 풍자한 말이다. 공교롭게도 최근 국내 관가 안팎에서도 이와 비슷한 볼멘소리가 새어 나온다. 공공기관 물갈이 작업과 관련해 정권교체의 공신을 배려하기 위해 ‘자리 만들기’를 시작한 게 아니냐는 불만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역사에서 보듯 ‘낙하산 인사’는 백성을 고달프게 하고 세상을 시끄럽게 했다. 공공기관장 인사철을 맞아 이명박 정부도 역사의 교훈을 되새길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기아, ‘The 2025 K5’ 출시…가격 2766만원 부터
2 尹 대통령, 오는 7일 대국민 담화·기자회견
3한데 모인 ‘삼성전자 역사’...합격 통지서부터 식권까지 각양각색
4 ‘강남 8중 추돌 사고’ 무면허 운전자 구속
510번째 논의에도 ‘합의 불발’...배달앱 상생협의체, 7일 추가 논의
6우크라 당국자 “北 파병 군인, 이미 러 쿠르스크서 공격 받았다”
7尹, 중앙아시아 5개국 만나…“北파병, 위험하고 전례 없는 일”
8‘북한강 시신 훼손’ 완전범죄 꿈꿨나...피의자 軍 장교, ‘피해자 행세’ 문자
9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위해 “주주환원 높이고 공매도 재개 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