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e - Inside Korea
scope - Inside Korea
한나라당의 새 사령탑인 안상수 대표의 앞날이 첩첩산중이다. 안 대표는 취임 일성으로 “국민이 걱정하지 않도록 당·정·청이 힘을 합쳐 함께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겠다”고 말했지만 해결해야 할 일이 한둘이 아니다.
우선 대표 경선을 격렬하게 치른 뒤 남은 후유증 치유가 문제다. 당장 차점자인 홍준표 최고위원이 노골적으로 ‘반기’를 들었다. ‘안상수 체제’를 인정할 수 없다는 태도다. 홍 최고위원은 지난 15일 전당대회 후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심에 역행하는 전당대회가 돼 유감”이라며 “걱정을 좀 해야 할 거다. 옛날 야당할 때 하던 비주류를 지금부터 또 해보겠다”고 안 대표를 옥죄었다. 실제 홍 최고위원은 안 대표가 들고 나온 ‘박근혜 총리론’에 대해 “전대용 발언으로 진정성이 담겨 있지 않다”, ‘보수대통합론’을 놓고는 “시대착오적 생각”이라며 반대했다. 홍 최고위원은 경선 때도 구체적인 근거자료를 내놓으며 안 대표의 병역기피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안 대표를 향해 당 안팎에서 “지도부 화합부터 이루라”는 주문이 쏟아지는 이유다. 파열음이 일자, 안 대표는 지난 18일 “2~3일 내에 (홍 최고위원을) 한번 만나려고 한다”며 진화에 나섰다.
친박근혜계(친박계)와의 화해도 관건이다. 안 대표는 친이명박계(친이계)의 핵심 중 핵심이다. 원내대표 시절에는 당 안팎의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디어법과 4대강 예산안을 밀어붙였다. 세종시 원안 추진을 놓고도 친박계와 관계가 껄끄러웠다. 여기다 최근 안 대표가 대표취임 후 불쑥 꺼내든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발언이 친박계의 심기를 건드렸다. 유력한 차기 대선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를 견제하려는 의도로 받아들여서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 의원은 “개헌은 국민적 합의와 논의가 필요한 사안으로 정치적 의도나 목적을 갖고 추진해서는 안 된다”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당장 다가올 7·28 재·보선도 안 대표의 큰 숙제다. 지난 선거 역사를 돌이켜볼 때 재·보선과 지방선거는 대부분 여당의 ‘무덤’이었고 그에 따라 여당 대표의 운명도 갈렸다. 지난 지방선거에 이어 재·보선에서도 참패한다면 안 대표도 자리 보전을 장담할 수 없는 처지다. 하지만 이 모든 걸림돌을 넘어 ‘안상수 체제’가 공고히 된다면 안 대표는 이명박 정부의 집권 후반기 여당 대표로서 막강한 파워를 갖게 될 가능성이 크다. 2012년 4월 19대 총선 공천권과 같은 해 치러질 차기 대선후보 경선 관리가 그의 몫이다.
안 대표는 이런 숙제를 풀어갈 첫 단추로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회동 추진을 택했다. ‘화해 모드’로 분위기를 띄워 재·보선에도 영향을 주려는 계산이 깔려 있다. 그 결과가 좋다면 ‘가화만사성’이 될 것이나, 이전의 회동처럼 무성한 뒷말만 낳은 채 양측이 감정만 상하게 된다면 ‘악수(惡手)’가 될지도 모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회 벚꽃, 올해는 멀리서...“봄꽃 축제 기간 외부인 출입 제한”
2 민주 "민간인 尹·김건희 신속 수사를…국헌문란 증명돼"
3국민신문고에 쏟아지는 분노…불만 3대장은 ‘이동통신·상품권·항공’
4 산불때 주민 대피 도운 인니 국적 3명에 '장기체류 자격' 부여
5직장인 70% “尹 탄핵 촉구 집회, 민주주의에 긍정적”
6 차기는 이재명 54.5%...尹파면 잘한 일 65.7%
7尹 탄핵 인용 뒤 ‘쾅’…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 기로’
814년 ‘전기차 집념’ 현대차·기아…누적 50만대 판매 돌파
9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