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 선진국 독일·핀란드를 가다] 열병합발전으로 화석연료 사용 ‘0’ 목표
[친환경에너지 선진국 독일·핀란드를 가다] 열병합발전으로 화석연료 사용 ‘0’ 목표


2030년까지 열병합발전 비중 25%로 확대

열병합발전은 신재생발전의 보완적 발전 방식이다. 풍력·태양열 발전은 기후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변한다. 날씨에 따라 공급 전력량과 전압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꾸준한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 만약 햇빛이 들지 않고 바람까지 불지 않는 날이면 꼼짝없이 ‘블랙아웃’ 사태를 맞을지도 모른다. 독일은 신재생발전의 불완전한 에너지 공급을 채우기 위해 열병합발전 공급을 확대한다. 독일은 현재 16%(9만4000GWh, 2015년 기준)인 열병합발전 비중을 2020년 21%, 2030년 25%로 늘린다. 신재생에너지와 더불어 에너지 공급의 양대축으로서 난방·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독일에 송전탑과 전기줄이 없는 점도 열병합발전 덕분이다. 열병합발전은 지역발전이라 원거리 송·변전이 불필요하다. 근거리 전기·열 공급은 땅 속 배관을 통해 이뤄진다. 이에 비해 한국은 물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해안가에 발전소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심·주거·공업단지 등과 거리가 멀어 대규모 송변전 설비 설치가 불가피하다. 송전망 설치 비용은 1km당 약 120억원(345kv 기준). 한국전력은 2014년 송·변전 설비에 2조1600억원을 사용했으며, 올해부터 2018년까지 8조1200억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주민 반발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독일은 열병합발전 보급을 넓히기 위해 연간 15억 유로(약 1조8400억원) 한도로 열병합발전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생산 전력의 규모에 따라 ㎾당 지원금을 매겨 설비 보수 비용을 지급하고, 남는 전력을 전력거래소에서 판매할 수도 있다. 2KW의 소규모 설비의 경우, 6만 시간을 가동한다고 가정해 KW당 4유로센트, 총 2400유로(약 295만원)를 지원한다. 열 보관탱크는 1㎥ 당 250유로, 열 배관도 1m당 100유로를 보조해준다. 새로 짓는 열 보관탱크는 1㎥ 당 250유로(약 32만5000원), 열 배관도 1m 당 100유로(약 13만원)가 지원된다. 단, 열 보관탱크와 배관 지원금은 프로젝트 당 각각 2000만유로(약 260억원)과 1000만유로(약 130억원)로 제한된다. 재원은 모든 전력소비자로부터 CHP수수료 1kWh당 4.19유로센트(약 55원)를 거둬 조달한다.
보조금은 모두 전기 사용자가 부담한다. ㎾h당 0.0419유로의 추가 비용을 물린다. 국민 1인당 연간 약 9유로를 부담하는 꼴이다. 독일에서도 비용 증가에 대한 반발이 컸다. 그러나 후쿠시마 사태 이후 탈 원전과 깨끗한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커졌다고 현지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RWE의 홍보담당자인 비앙카 하이들러는 “지원금 없이는 설비 건설이 어려웠을 것”이라며 “나무 등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에 대한 지원금도 따로 받고 있다”고 말했다.
핀란드는 독일보다 열병합발전이 더욱 보편화됐다. 165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105곳에 열병합발전소가 있으며, 전체 열 사용량의 82%(71GWh)를 열병합발전으로 공급 중이다. 추운 기후 탓에 열과 전기를 함께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의 경쟁력이 높아서다. 유럽에서도 열병합발전 비중이 큰 곳은 덴마크·스위스 등 추운 나라다. 핀란드는 2011년부터 열병합발전이 사용하는 연료에 탄소세를 50% 감면하고 1GWh의 열병합발전을 추가할 계획이다. 야리 코스타마 핀란드에너지협회 열병합발전·냉난방 담당은 “석탄 가격 하락과 유럽 경제 불황 등으로 신재생에너지가 도전에 직면했지만 친환경 열병합발전 지원 논의는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 1인당 9유로 부담해 설비·전력에 보조금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