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길이의 마이크로 바늘이 100개 달린 일회용 반창고 같은 패치로 백신 투여 사진 : GETTY IMAGES BANK앤드류 맥도널드(42)는 주사바늘을 볼 때마다 온몸이 아파온다. 공황발작에 진땀을 흘리고, 욕설을 내뱉는다. 극단적인 반응이지만 의외로 그런 사람이 많다. 미국 인구의 무려 10%가 주사바늘 공포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머지않아 맥도널드가 병원을 방문할 때 겪는 불쾌감을 덜 수 있을지 모른다. 주사바늘 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마이크로 바늘이 부착된 독감 패치(오른쪽)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 사진 : GEORGIA TECH미국의 연구팀이 일회용 반창고 같은 점착성 패치를 이용해 독감 백신을 투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패치에는 100개의 마이크로 바늘이 달려 있다. 바늘 하나 굵기가 머리카락만하고 길이는 13㎜ 정도다. 고통 없이 피부 속으로 녹아들어 백신을 퍼뜨린다. 20분 뒤 패치를 떼어내버리면 그만이다.
예비조사 결과 이 신형 패치가 표준 독감주사만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밝혀졌다. 18~49세의 건강한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시험 결과가 의학저널 란셋에 발표됐다. 연구를 이끈 에모리대학 의학과 내딘 루파엘 부교수는 “전반적으로 70% 이상이 독감주사보다 패치 방식을 더 선호했다”고 말했다. 패치를 붙일 때 피부에 벨크로(일명 찍찍이)를 부착하는 듯한 느낌이 들 수도 있다고 그는 말한다.
컬럼비아대학의 역학자 스티븐 모스 교수는 이 패치가 주사바늘 공포증이 있는 사람에게 효과적일뿐만 아니라 다른 이점도 많다고 말했다. “예방접종이 훨씬 간단해진다. 일회용 반창고 붙이듯 간편하게 집에서 직접 할 수 있다.”
독감 시즌 중 특히 시간을 내기 어려운 성인 직장인들 사이에서 백신 접종이 늘어날지 모른다.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독감 예방접종을 받은 성인은 37%에 불과했다. 미국 내 독감 사망자는 1년에 대략 4만8000명에 달한다. 모스 교수는 “접종 받으려 줄 서서 기다리거나 병원 예약할 시간조차 없이 바쁘게 사는 사람이 너무 많다”고 말했다.
최대 40℃까지는 패치가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냉동시키거나 그에 따른 추가 비용 없이 개도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독감이 유행할 때 우편을 통해 신속하게 공급할 수도 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런던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세계 인플루엔자 센터 존 맥컬리 소장은 “전반적으로 전망이 매우 밝다”고 말했다.
한 가지 걸림돌이라면 패치가 실용화되기까지 5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이다.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추가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한편 과학자들은 주사바늘이 더 빨리 녹고 국부 자극이 적은 차세대 패치를 개발 중이다. 또한 소아마비·A형간염 등 다른 백신 접종에도 패치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연구한다.
- 샌디 옹 뉴스위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