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형 자동차’ 포터-봉고, 배터리 달자 없어서 못 판다
올해 상반기 판매량 전년 대비 148% 증가
포터2 일렉트릭 8000대, 봉고3 EV 5000대
2024년 경유 모델 접고 전기차 생산 논의

5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포터2 일렉트릭은 올해 상반기 총 8554대 팔리며 전기차 시장 판매 1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현대차의 첫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승용 전기차인 아이오닉5(5700대)보다도 더 많이 팔렸다. 2019년 12월 처음 나온 상용 전기차 포터2 일렉트릭은 지난해 상반기 3452대가 팔린데 그쳤지만, 올해 148% 넘게 판매량이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불경기로 소규모 창업에 나선 서민이 많아진 속에서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포터2 일렉트릭 판매량 증가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포터2 일렉트릭은 출고가(4000만원대) 2000만원대인 디젤 모델보다 비싸지만, 보조금을 받을 경우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고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으로 최대 24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지비는 훨씬 저렴하다. 현대차는 디젤 1ℓ로 9㎞를 가는 포터2 디젤 모델은 1년 평균(영업용 1만5000㎞ 기준) 177만원을 유류비에 쓰는 반면 포터2 일렉트릭은 충전 비용이 107만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관계자는 “포터2 일렉트릭은 1㎾h 당 3㎞의 전비를 낸다”면서 “3년 이상 보유 시 디젤 모델 대비 유류비에서만 200만원가량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1t 전기차 특수에는 물류업체가 운반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는 영향도 컸다. 정부는 화물차 운수업 허가를 제한하면서도 1.5t 미만 전기트럭에 한해 발급을 허용했다. 포터2 디젤 모델은 화물차로 등록이 안되지만, 포터2 일렉트릭은 되는 식이다. 이에 롯데글로벌로지스, SSG닷컴은 포터2 일렉트릭을, CJ대한통운은 기아 봉고 EV를 배송 차량으로 전환하고 있다.
상용 전기차 인기에 현대차와 기아는 경유를 사용하는 1t 트럭의 전면 생산 중단까지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2023년 4월부터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경유를 쓰는 소형 택배화물 차량의 신규 등록을 금지하겠다고 밝히는 등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상용 전기차의 성장 가능성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논의 중인 사안이나 정해진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배동주 기자 bae.dongju@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2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3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4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5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6‘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7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8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9"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