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로나 4차 유행+최저임금 인상’ 조짐에 소상공 부담 2배로

거리두기 4단계 시행 시 소비도 급감 우려
비대면 소비 막은 카드 캐시백 추경도 타격
최저임금 인상 가능성에 “임금 지급 어려워”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1212명 발생한 7일 서울역 광장 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를 받기 위해 시민들이 줄지어 서 있다[중앙포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대유행 조짐이 일자 소상공인들이 가슴을 졸이고 있다. 정부가 거리두기 4단계 시행 검토 등 방역지침 강화 카드를 뽑아 들지 고민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임 금지 등 방역지침을 강화하면 살아나던 소비 시장이 다시 위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안 가능성까지 불거지며 소상공인들에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지난 8일 0시 기준 기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신규 확진자 수가 1275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1월 20일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대치다. 지난해 12월 코로나19 3차 대유행 당시 하루 최대 확진자 수가 1240명이었는데 이보다 많은 수치다. 정부가 ‘4차 대유행’을 우려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올해 처음 확진자 수가 1200명을 넘어선 지난 6일 정부는 상황이 악화할 경우 거리두기 단계를 4단계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거리두기 4단계를 시행하면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 모임을 할 수 없게 된다. 학교도 원격 수업 체제로 운영하고, 스포츠 경기는 관중 없이 진행한다. 종교 시설도 비대면으로 운영해야 한다. 사적 외부 활동이나 모임에 강력한 제약이 걸리는 셈이다.  
 
이에 따라 최근 경기가 살아나고 소비도 증가하면서 영업활동을 본격 준비하던 소상공인들이 타격을 받게 될 전망이다. 정부가 발표한 2차 추경안 가운데 소비 촉진을 위해 배정했던 예산도 삭감되거나 집행이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거리두기를 강화하면서 소비를 활성화하는 정책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지적 때문이다. 
 
지난해에도 정부가 소비쿠폰을 발행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후 쿠폰 사용을 중단시킨 바 있다. 소비의 일정액을 카드 포인트로 돌려주는 상생소비지원금은 예산이 제대로 집행될지 불투명해졌다. 온라인, 비대면 사용처를 제한한 상황이어서 거리두기 단계가 올라가고 모임이 금지되면 소비도 한정될 수 있어서다. 지난 7일 이억원 기재부 1차관은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브리핑에서 소비쿠폰 발급에 대해 “방역 당국과 긴밀한 협력하에 추진하는 게 기본 원칙”이라며 “추진 시기를 계속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7월 1일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 시행을 앞두고 정부는 지역별 세부 단계를 확정했다. 하지만 불과 열흘을 넘기지 못하고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조정 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사진은 서울 명동 거리에서 시민들이 오가는 모습[연합뉴스]
 

소상공인 90% “최저임금 인상에 부담 느껴” 

소상공인들은 최저임금 인상 가능성을 두고도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내년도 최저임금을 두고 경영계는 동결(시간당 8720원)을 노동계는 1만800원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임금이 오르면 경영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소상공인 10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최저임금 관련 소상공인 긴급 실태조사’에 따르면 91.9%가 최저임금 인상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매우 부담을 느낀다”는 응답은 79.4%, “다소 부담을 느낀다”는 대답은 12.5%였다.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임금을 지급하는데 어려워질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87.2%에 달했다.  

 
소상공인 연합회 관계자는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고정비용 상승으로 인한 대출과 부채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경영상황도 더 악화할 수 있다”고 토로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대법원 간다...2심 판결 불복

2구미시, '인터배터리 유럽 2024' 참가해 글로벌 이차전지 네트워크 구축

3대구 달성군, 2024년 주민제안사업 투표 실시

4尹대통령, 경북 경산에서 민생토론회 개최... "경북을 첨단 제조혁신허브로 키우겠다"

5車보험 손해율 상승세...폭염·장마에 더 오를 듯

6손흥민, 벤탄쿠르 용서했다..."우린 여전히 형제"

7'팩션' 개척한 작가가 바라본 인간과 AI…AI가 아닌 인간 향해 질문 던져

8윤석열 "영일만 횡단 고속도로 추진...경북 '2시간 생활권' 만들겠다"

9LG유플러스, 친환경 재생에너지 공급 사업 진출

실시간 뉴스

1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대법원 간다...2심 판결 불복

2구미시, '인터배터리 유럽 2024' 참가해 글로벌 이차전지 네트워크 구축

3대구 달성군, 2024년 주민제안사업 투표 실시

4尹대통령, 경북 경산에서 민생토론회 개최... "경북을 첨단 제조혁신허브로 키우겠다"

5車보험 손해율 상승세...폭염·장마에 더 오를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