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홍남기 “‘신용카드 캐시백’ 배달 앱 사용 검토한다”

거리두기 조치 상향 조정에 따라 지원책 범위 넓혀
영화·체육 소비쿠폰 발행 시기는 방역 결과 따라 결정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신용카드 캐시백 정책에 대해 “배달 앱을 사용처에 포함할 수 있다”고 15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에서 배달 오토바이들이 분주하게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신용카드 캐시백’으로 불리는 코로나 상생소비지원금을 배달 앱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신용카드 캐시백 정책에 대해 “배달 앱은 사용처에 포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배달 앱 음식 주문 서비스 증가율이 높아졌는데 신용카드 캐시백에도 이를 반영할 수 있다는 뜻이다.
 
상생소비지원금은 정부가 2차 추경안에 포함한 코로나19 피해 지원 정책 중 하나다. 상생소비지원금에 책정한 예산은 1조1000억원이다. 2분기 신용카드 사용액보다 지출이 늘어나면 소비 증가분의 10%를 캐시백 형태로 환급해준다. 하지만 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쇼핑몰·유흥업소 등에서의 사용은 소비 증가분으로 인정하지 않기로 했었다. 
 
홍 부총리는 “신용카드 캐시백을 만들면서 고민한 게 백화점·전문매장·사치품매장 소비보다는 골목상권이나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의 음식점에서 소비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었다”며 “배달 앱 같은 경우는 판단해 (사용처에) 포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능한 한 (골목상권·소상공인) 소비를 유도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방역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에 온라인 배달 서비스 등은 국회와 협의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쿠폰 발행 시기 등은 방역 당국과 협의해 결정할 방침이다. 홍 부총리는 “방역이 잡힌다는 전제하에 영화·체육 쿠폰을 2~3개월 뒤 재개하는 것으로 편성했는데 코로나19 방역상황이 엄중해졌다”며 “(쿠폰 발행 시기를) 미루고 이에 따른 감액이 필요하다면 금액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국회와 상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2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3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4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5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6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7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8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9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실시간 뉴스

1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2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3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4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5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