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로나19 이후 현금 퇴장현상…5만원권 환수율 ‘뚝’ [체크리포트]

5만원권 환수율 16.1%…발행 이후 연도별 가장 낮아

 
 
장기화된 코로나19로 대면서비스가 감소하면서 현금이용 비중과 보유현금이 감소하는 ‘현금 퇴장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지난 10월 30일 발표한 ‘코로나19 확산 이후 현금의 퇴장 현상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5만원권 중심으로 현금환수율이 급감했다. 2021년 9월말 기준 5만원권 환수율은 16.1%로 나타났다. 2020년의 24.2%에 비해 8.1%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2009년 발행 이후 연도별 기준 가장 낮은 환수율이다.
 
신용·체크·선불카드 등의 지급카드 대면결제 비중도 줄어들었다. 2021년 상반기 중 지급카드 대면결제 비중은 59%로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4분기 66%에 비해 7%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이에 반해 2021년 상반기 기준 비대면 결제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상반기중 국내 지급결제동향'에 따르면 2019년 33%였던 비대면 결제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 38.8%를 돌파해 올해 상반기 41.2%를 기록했다.  
 
접근 기기별로는 실물카드를 이용한 결제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로 소폭 증가한 반면, 모바일기기 등을 이용한 결제규모는 21.4%인 큰 폭으로 증가했다. 모바일 기반의 비대면결제뿐 아니라 대면결제의 경우에도 결제단말기(카드 단말기, QR코드 등)에 실물카드 대신 모바일기기를 접촉하는 결제방식이 확산됐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반입 금지’ 몰랐다가 낭패 …日 여행 필수템 ‘이브’ 못 들여온다

2“벚꽃 위로 눈 날리고”…전국 강풍특보에 날씨 혼돈

3“또 꺼졌다” 부산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 ‘싱크홀 공포’

4 국힘 윤상현, 대권 도전 결심…이번주 출마 선언 전망

5“남자친구 있어요?” 더본코리아 ‘술자리 면접’ 논란에…고용부 나서

6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규모 상생협력 MOU 체결

7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8트럼프, 반도체 관세 ‘밀당’…“14일에 말하겠다”

9 유승민, 대선경선 불참키로…“국민의힘, 변화의 길 거부”

실시간 뉴스

1‘반입 금지’ 몰랐다가 낭패 …日 여행 필수템 ‘이브’ 못 들여온다

2“벚꽃 위로 눈 날리고”…전국 강풍특보에 날씨 혼돈

3“또 꺼졌다” 부산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 ‘싱크홀 공포’

4 국힘 윤상현, 대권 도전 결심…이번주 출마 선언 전망

5“남자친구 있어요?” 더본코리아 ‘술자리 면접’ 논란에…고용부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