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이 띄운 ‘전 국민 지원금’에 윤석열·홍남기 ‘절레절레’
[대선주자 경제정책] 코로나 극복 자금 논쟁
이재명 “전 국민 30만~50만원 지급” 주장에
여당 “재원 규모, 방안 이번 주 중 정할 것”
윤석열 “피해 입은 분들 위주로 지원해야”
홍남기 역시 “여건상 올해는 어려울 것”

최소 30만원 지급 주장에 여당 “20만~25만원 가능”
이 후보는 지급 근거로 들고 있는 것은 크게 세 가지다. 코로나19 사태 전과 비교해 가계부채 비율이 높아지고, 국가채무 비율은 낮다는 점, 그리고 올해 초과 세수가 40조원가량 된다는 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1인당 재난지원금을 추가로 최하 30만~50만원 정도 지급해 현재 48만~50만원 수준의 누적 지급액을 1인당 100만원까지 늘려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에 소요되는 재정은 15조~25조원 수준으로 추정한다.
여당인 민주당 안에서는 찬성과 반대 의견이 혼재된 가운데서도 찬성 쪽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박완주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추가 세수가 40조원 정도 남는다고 하는데 (전 국민 지원금) 88% 했을 때 11조원 정도였는데 추가 세수가 그 정도면 1인당 20만~25만원 정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전 국민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의 재원 규모와 방안을 이번 주 안에 결정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윤석열 “피해자 위주로 두툼하게 지원하는게 맞아”
후보 선출 후 첫 일정으로 찾은 서울 송파구 가락시장에서도 그는 “영세 소상공인, 자영업자에 대한 코로나19 피해 보상은 손실을 보상하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몇 퍼센트 이하는 전부 지급한다는 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고 반대 의사를 다시금 밝혔다.

그는 이어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손실 보상은 당연히 피해를 입은 분들에게 충분하고 합당한 지원을 하는 게 맞으나 재난지원금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고통받은 국민을 위로하는 성격도 있지만,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매출을 지원하는 경제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구휼정책이 아닌 경제정책인 만큼 대상을 선별할 필요도, 이유도 없다”고 전 국민 지급을 재차 강조했다.
홍남기 “여건상 어려워”에 李 “물러서거나 타협 않겠다”
‘88%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정부와 팽팽한 줄다리기 싸움을 했던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난색을 보였다. 홍 부총리는 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여건상 올해는 추가경정예산이 있을 수도 없을 것 같고 여러 가지로 어려울 것 같다”고 밝힌 것이다.

이 후보도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지난 5일 자신의 SNS에 “재정 당국의 반대가 예상되지만, 정치의 유불리를 따지며 쉽게 물러서거나 타협하지 않겠다.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정치는 존재 가치가 없다고 믿는다”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 후보가 지역 화폐 예산 증액, 소상공인 손실보상액 확대 등도 요구하고 있는 터라 내년도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여당과 재정 당국과의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의 부동산시장 정책도 비교 분석했습니다
▶ [부동산 대선 공약①] 李 ‘기본주택’ VS 尹 ‘청년원가주택’ 현실성은?
▶ [부동산 대선 공약②] 규제, 李은 더 조이고 尹은 확 푼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