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던 대출금리 일시적 제동…기준금리 인상 시 상승세 불가피
시장금리 안정화에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0.2%p 하락
한은 25일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대출금리 상승세 가속도 전망

14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2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31∼4.83%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3.73∼5.16%로, 이달 초 3.97~5.37% 대비 최저 금리는 0.24%포인트, 최고 금리는 0.21%포인트 소폭 낮아졌다.
대출 금리 상승세가 주춤한 배경은 대출금리의 지표가 되는 ‘시장금리’가 안정을 찾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기준으로 활용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는 지난 1일 2.614%에서 12일 2.404%로, 0.21%포인트 낮아졌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의 지표금리인 은행채 1년물 금리도 1.761%에서 1.627%로 0.134%포인트 떨어졌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압박에 따른 은행권의 가산금리 확대와 우대금리 축소 조치가 지난달 말에 대부분 마무리된 것도 대출금리 급등세 진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대출금리 진정세에 대해 업계에선 ‘일시적인 흐름’일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중장기적으로 대출 금리 상승세는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오는 25일 예정된 한은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확률이 상당히 높다. 이 경우 시장금리 상승흐름에 또다시 가속도가 붙을 수밖에 없다.
일각에선 한은이 내년 초 또다시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물가 급등세가 지속해 금리 정상화 차원서 추가 인상을 할 것이란 설명이다.
또 불안한 물가 탓에 미국까지 예상보다 빨리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게 되면 국내 대출금리도 빠르게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미국의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6.2% 뛰어 1990년 12월 이후 31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이에 연말과 내년 초까지 대출자들의 부담은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내년까지 대출금리가 계속 오를 수밖에 없는 환경인 만큼 대출자들도 중장기적 시점에서 이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민경 기자 kang.minky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진에어, 식목일 맞이 ‘씨드깃발’ 증정 행사 진행
2홈플러스 “퇴직연금 적립금 1100억 미납…회생절차 따라 차질 없이 납입할 것”
3코스피, 2,450대서 등락…반도체주 큰폭으로 떨어져
4스마일게이트 오렌지플래닛 ‘부산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성료
5제주항공, 식목일 맞아 식물 키우기 키트 제공
6DK아시아, ‘로열파크씨티’ 입주민 파격 ‘혜택’,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과 지정병원 협약 체결
7“가격 경쟁? 불가능에 가까워”...판 흔들고, 주도하는 ‘BYD’
8원/달러 환율, 尹 탄핵 결과 따라 변동성 확대…달러 약세에 급락 출발
9HD현대, 美 안두릴과 무인함정 개발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