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자금>인력>기술 부족으로 미래차 산업 진출에 주저해”

KAIA ‘자동차업계 경영 및 미래차 전환 실태조사’
국내 자동차·부품업계 절반 이상이 진출조차 못해
수익 실현까지 3년 이상 걸리고 투자자금도 부족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의 전기자동차 충전소. [사진 연합뉴스]
국내 완성차와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미래차 전환 속도가 더디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래차란 친환경차·자율주행차·커넥티드카를 총칭한다. 해당 산업에 진출했더라도 현재 수익을 실현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20%에 그쳐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업들이 미래차 산업에 안착하려면 정부가 좀더 적극적·장기적으로 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업계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 차·부품업계 절반은 미래차 분야 진출 ‘아직’

14일 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제21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을 온라인으로 열고 '자동차업계 경영 및 미래차 전환 실태 조사'에 대해 발표했다. 지난 8월 31일부터 약 두 달간 완성차·자동차부품업체 300개사, 자동차업계 종사자 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 중 56.3%(169개사)는 미래차 분야에 아직 진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 분야에 진출해 수익을 실현한 기업은 응답기업 중 20%에 그쳤다. 이들이 수익을 거두기까진 3년 이상 걸렸다는 응답이 절반 이상(57.3%)이었다. 미래차 분야에 진출했더라도 수익 창출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미래차산업에 아직 진입하지 못한 기업들의 진출 희망 분야는 ‘전기차 전용부품’(36.7%), ‘미래차용 공용부품’(30.2%) 순으로 나타났다. 기술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자율주행’(11.8%), ‘수소차 전용부품’(9.5%)을 선택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
미래차 투자와 관련한 애로사항에는 ‘자금 부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미래차 연구개발(R&D) 투자와 관련한 애로 요인을 묻는 말에는 절반에 가까운(47.3%) 기업들이 자금 부족을 꼽았다. 이밖에 ‘전문인력 부족’(32.1%), ‘원천기술 부족’(13.0%) 등의 어려움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비 투자 관련 장애요인에서도 자금 부족이 77.9%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정송희 KAIA 책임위원은 “지난해 조사에서 설비투자 장애요인 중 ‘자금 부족’ 응답이 63.9% 비중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자금 애로가 악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자금조달 여건이 전년보다 악화됐다는 응답도 46.3%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미래차 산업에 진출하는 데 있어서 공공부문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근거도 나왔다. 조사 결과, 기업들은 미래차 진출과 관련해 완성차업체 등 납품처(57.3%)에 주로 자문을 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술도 자체개발(58.8%)이거나 완성차업체 등과 공동개발(34.4%)을 통해 확보하고 있었다. 정부 기술 개발은 3.1%에 그쳐 공공부문의 역할이 미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래차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들은 재직자를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신규 충원에도 힘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미래차 전문인력 확보 방안에 대해 재직자 재교육(57.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신 규충원(38.2%)과 자체 양성(3.1%)도 고려하고 있었다. 기존 인력을 미래차 분야에 활용하는 계획에 대해선 재교육 후 직무전환하겠다는 답변이 80.9%였더, 하지만 기존인력의 미래차 분야 활용이 곤란하다는 응답도 19.1%에 달했다.  
 

업계 “미래차 전환 위한 정부 맞춤형 지원책 필요”

이날 전문가들은 미래차 전환을 위한 정부의 선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정만기 KAIA 회장은 개회사에서 “전기동력차는 부품수가 통상 대비 30%이상 적을 뿐 아니라 조립과정이 간결해 투입 노동력 감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자율주행을 위한 전장화와 고객 맞춤형 생산 확대는 융·복합 기술역량을 갖춘 노동력과 유연한 노동을 요구하고 있다”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그는 이어 “노동력 축소나 생산유연성 확보에 대응하기 위해 법률·규제·인식 등 사회 전반의 제도를 기술 변화에 맞춰 개혁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는 “자동차산업이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전 세계 미래차 분야에서 경쟁우위에 서려면 선제적이고 전략적인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며 “사업구조 개편, 정부의 기업 참여 독려·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수빈 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휜 외벽' 힐스테이트 “하자 아닌 부분도 개선 합의”…석재 마감처리 전망

2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 예방…"부동산 개발사업 진출 희망"

3SOOP, 스트리머와 함께하는 자선행사 숲트리머’s 플리마켓 18일 개최

4넥슨 ‘데이브 더 다이버’, ‘고질라’ 컬래버 콘텐츠 5월 23일 공개

5토스뱅크, 비과세종합저축 적용 계좌 6만좌 돌파

6수출입銀, 캄보디아 지방도로 개선사업에 EDCF 1.2억달러 제공

7CJ올리브네트웍스, ‘라이프스타일 혁신 기업’으로 변신 꾀한다

8‘굴종 외교’ 비판까지 나온 라인야후 사태…네이버 ‘경영권 유지’ 가닥

9김호중, ‘뺑소니’ 후 집 아닌 호텔로…음주측정 회피 정황

실시간 뉴스

1'휜 외벽' 힐스테이트 “하자 아닌 부분도 개선 합의”…석재 마감처리 전망

2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 예방…"부동산 개발사업 진출 희망"

3SOOP, 스트리머와 함께하는 자선행사 숲트리머’s 플리마켓 18일 개최

4넥슨 ‘데이브 더 다이버’, ‘고질라’ 컬래버 콘텐츠 5월 23일 공개

5토스뱅크, 비과세종합저축 적용 계좌 6만좌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