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석탄 공급 제한에 발전·시멘트·철강 인상 조짐
국제 석탄가격 인상 자극 우려
산업부 대응반 구성 TF 긴급회의
발전·철강업계 생산비 증가 압박

3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가 1월 말까지 한달 동안 석탄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지난해 연평균 기준 우리나라의 석탄 수입 비중을 국가(수출국)별로 보면 호주(49%)가 가장 많고, 인도네시아(20%), 러시아(11%), 미국(9%), 기타 순이다.
수입 비중의 절반을 호주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 관련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이 정부의 관측이다. 게다가 인도네시아가 수출을 제한한 석탄 종류는 발전용 유연탄이며, 국내 발전소들이 겨울에 쓸 석탄을 미리 확보해 1월 수입 물량 중 절반 이상이 현지에서 이미 선적·출항해 국내에 조만간 들어올 예정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업계의 시각은 다르다. 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제한이 국제가격 인상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수출 제한이 장기화될 것을 우려해 다른 국가들이 확보 경쟁에 나설 수 있으며 이는 호주산·러시아산 등지의 석탄 가격 인상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는 곧 석탄 수요가 많은 국내의 전력·시멘트·철강의 생산 단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도 이 같은 우려를 내부적으로 의식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를 수수방관하다 국내 요소수 대란을 겪은 경험 때문이다. 산업부는 4일 ‘인도네시아 석탄 수출 금지 조치 대응반’을 구성하고. 5개 발전공기업을 비롯해 주인도네시아한국대사관·주중국한국대사관·한국전력·전력거래소로 이뤄진 에너지·자원 수급관리TF 긴급회의를 가졌다.

시멘트업체들 가격 인상 시작 ‘도미노’
철강업계도 인도네시아 수출 제한이 국제가격 인상으로 이어질까 걱정한다. 철강업계는 “철강업체들이 주로 사용하는 석탄은 호주·러시아·중국산이어서 당장의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철광석과 석탄이 철강제품 생산의 주요 원료인데 국제가격이 오르면 단가 인상 압박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건설·자동차·조선업계 등으로 2차 파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시멘트업계는 지난해부터 가격 인상 압박을 받고 있다. 건설경기가 예전 못지 않은데다 각종 원자재값이 오르고 있어서다. 게다가 인도네시아가 석탄 수출까지 제한하면서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 시멘트업계 입장이다. 인도네시아가 수출을 제한한 발전용 유연탄이 시멘트의 원재료인데다 지난해 시멘트 가격 인상을 부추긴 주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유연탄 가격은 지난해 t당 220달러에 육박했다가 하락했는데 올해 초부터 인도네시아 수출 제한이 다시 인상을 자극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시멘트업계는 최근 거래처에 공문을 보내고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쌍용C&E는 2월부터 1종 벌크 시멘트 가격을 t당 9만3000원(약 18%)으로 올리겠다는 내용을 거래처에 최근 공지했다. 쌍용C&E는 지난해 7월에도 7만5000원에서 7만8800원으로 인상했었다.
한라시멘트도 이달 말이나 2월초에 시멘트 가격을 올리기로 확정하고 인상폭을 약 18% 전후에서 저울질 중이다. 삼표시멘트·한일시멘트·성신양회·아세아시멘트·한일현대시멘트 등도 가격 인상 행렬에 참여할 뜻을 내비치고 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