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간편투자 파운트, 글로벌ETF 투자자 증가세…연평균 수익률은?
글로벌ETF 상품 출시 1주년 성과 공유
총계약자산 430억원 돌파, 3040 투자자 전체 60% 차지

파운트는 12일 누적 투자자수가 약 470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투자금액은 약 1200만원, 평균 추가납입횟수는 3.6회로 매 분기별 한 번꼴로 추가납입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가 각각 31.6%로 가장 많았으며, 50대는 18.0%, 20대 14.1% 60대 4.1% 등으로 나타났다. 1월 현재, 파운트의 글로벌 ETF 계약자산총액(AUM)은 435억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ETF 투자자의 연평균수익률은 8.2%를 달성 중이다.
투자기간별 평균수익률을 살펴보면 3개월 이상 7.1%, 6개월 이상 8.1%, 1년 이상은 11.2%였다. 이를 연으로 환산해보면 각각 10.4%, 10.8%, 11.2%로, 투자기간이 길수록 수익률 또한 높았다.
특히 3개월 이상 투자자의 99.9%, 6개월 이상 투자자들은 100%가 수익을 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파운트 김영빈 대표이사는 “로보어드바이저는 미래를 예측해 오를 상품을 찍어주는 것이 아니다. 주식을 몰라도, 소액이라도 누구나 최적의 글로벌 자산배분을 통해 연평균 7~8%의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투자벙법론”이라며 “3개월보다는 6개월, 최소 1년 이상 장기투자를 해야만 기대한 목표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 시장을 이기려고 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세계 경제성장의 우상향 곡선에 올라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지난해 1월 출시된 파운트의 글로벌 ETF(상장지수펀드)는 미국 뉴욕거래소에 상장된 ETF를 기초자산으로, 글로벌 자산배분이나 인컴형 포트폴리오뿐만 아니라 테마형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포함한다.
국내에서 거래되는 ETF 대비 더욱 다양한 투자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고, 달러 투자로 환율 변화에 따른 성과까지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TF는 개별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로 직접투자와 간접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최근 불확실성이 큰 주식시장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대체 투자상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파운트는 2022년 새해 글로벌ETF 출시 1주년을 맞아 이벤트를 진행한다.
1월 한달간 글로벌ETF 신규 투자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아이폰13 미니, 투자지원금 5만원, 쿠팡이츠 이용권 등이 제공되며, 2월까지 1회 이상 추가납입 할 경우 투자금액별 투자지원금이 최대 5만원까지 지급된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
6농심-삼양의 '60년 라면전쟁'...K-푸드, '세계의 별'로 만들다
7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미국 상호관세 발표 영향
8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탈환' 시동?...연준 '유동성 언급'에 8만 3천 달러 반등
9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