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탈환' 시동?...연준 '유동성 언급'에 8만 3천 달러 반등

비트코인(생성형 이미지)

최근 비트코인이 83,438달러까지 반등하며 상승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연준의 정책 대응이 향후 가격 흐름을 결정지을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국채 수익률과 달러 지수(DXY)보다, 회사채 스프레드나 시스템 리스크 지표와 같은 금융 불안의 전조를 더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해당 지표들이 확대될 경우, 전통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커지며 비트코인이 심리적 저항선인 10만 달러 재돌파를 시도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는 달러 신뢰 약화가 전제된다. 연준이 시장 안정을 위해 유동성을 적극 공급할 경우, 금이나 비트코인과 같은 실물 기반 혹은 대체 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 특히 이 같은 조치가 ‘중앙은행 통제력의 약화’로 해석될 경우, 비트코인은 다시금 거시경제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는 대안 자산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1일(현지시간) 발언을 통해 연준이 필요시 유동성 지원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4.5%까지 오른 상황을 두고 “시장 신뢰가 흔들리는 초기 징후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 기조를 견지하면서도 금융 불안을 방지할 대응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연준이 실제 유동성 공급에 나설 경우, 장기 국채 매입 확대나 할인창구를 통한 자금 지원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담보 평가 기준을 강화할 경우, 은행권의 실질적인 조달 여력이 제한될 수 있어 정책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아울러 자금 회수를 위한 역레포 활용 가능성도 함께 언급되며, 시장은 유동성 공급의 순효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이처럼 미 연준의 대응 방향은 단순한 금리 조정 이상의 시장 파급력을 지니며,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체 자산 시장에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 선언 “행정수도 세종 완성할 것”

2제주에 ‘폭싹’ 빠진 대만…관광객 1년 새 2.3배 급증

3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4청년 전세대출로 21억 ‘꿀꺽’…사기 일당 줄줄이 징역형

5오늘 태어난 아이는 60년 후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6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중앙亞 출장길 올라 “성장 지역 교류 확대”

7“인조가죽을 ‘#에코레더’라 광고” 공정위, 무신사 ‘그린워싱’ 제재

8재탕? 이제는 새롭게 재창조…이유있는 올드 IP 흥행 열풍

9“역시 아는 맛이 제맛”…유저들이 올드 IP를 선호하는 이유는?

실시간 뉴스

1 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 선언 “행정수도 세종 완성할 것”

2제주에 ‘폭싹’ 빠진 대만…관광객 1년 새 2.3배 급증

3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4청년 전세대출로 21억 ‘꿀꺽’…사기 일당 줄줄이 징역형

5오늘 태어난 아이는 60년 후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