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경제 전망 가늠할 주요 지표들 발표 잇따라

정부는 25일에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경제 전망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26일엔 ▶1월 소비자동향조사(CSI) 결과 ▶2월 한국 뉴딜 사업 주요 추진계획, 27일엔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1월 경제심리지수(ESI), 28일에는 ▶지난해 12월과 연간 산업활동동향과 평가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7일에는 사업주와 경영자의 책임을 강화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될 예정이어서 재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업들은 반발하며 정부에 면책 조항 마련을 요구하는 한편, 안전기구 등 내부적으로 대응조직을 꾸리고 있다.
미국에서는 25~26일(현지 시간)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새해 첫 회의가 열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긴축 기조를 끌고 나갈 계획이다. 이 때문에 FOMC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이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25일에 대외경제장관회의와 대외경제협력기금운용위원회를 열 예정이다. 이와 함께 요소수 수급 관련 범부처 합동대응회의도 함께 연다. 정부는 이 경제지표를 토대로 다음달 중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고승범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하는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와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설을 앞둔 시점인데다 원자재 가격 동향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각 부처에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그는 이어 “중대재해처벌법이 27일 시행되므로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평가제도를 활용해 안전컨설팅에 주력해달라”고 주문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