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부진했던 제조업 국내공급 지난해 역대 최대 급증

2017년 이후 4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해
수입 점유비 29.4%, 연간 기준 역대 최고

 
 
경기도 군포시 소재 한 자가검사키트 생산 현장. [사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최근 수년간 부진했던 제조업 국내공급지수가 지난해 역대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돼 국내로 출하됐거나, 외국에서 생산된 뒤 국내에 유통된 제조업 제품의 실질 공급금액을 지수화한 것이다. 이 지수를 활용해 내수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및 연간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8.7(2015=100)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5% 오른 수치로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2017년 4.2% 증가한 뒤 2018년(-0.7%)과 2019년(0.0%), 2020년(-1.2%)에 걸쳐 하락세를 보인 뒤 지난해 4년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국산제품과 수입제품 모두 상승했지만, 수입제품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특히 수입제품 공급이 전자제품, 기계장비를 중심으로 14.7% 늘었고 국산제품 공급은 기계장비,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0.7% 늘었다. 이에 수입점유비는 29.4%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2%포인트 올랐다.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 증감 추이. [이코노미스트]
제조업 제품을 최종재와 중간재 등 재화별로 나누면 지난해 최종재 공급은 전년 대비 2.9% 늘었다. 국산 최종재 공급이 2.3% 줄었지만, 수입이 16.0%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중간재 공급은 국산과 수입이 각각 2.8%, 13.8% 늘며 5.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12.3%)와 전자제품(8.9%) 등의 공급이 늘었으며, 기타운송장비(-32.8%) 등은 감소했다. 수입점유비는 기타운송장비, 의약품, 기타제품 등이 전년보다 올랐고, 의료정밀과학 등은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4분기 동향만 놓고 보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12.9(2015=100)로 전년 동기 대비 3.9% 상승했다. 국산은 0.5% 감소한 반면에 수입이 15.3% 증가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이 기간 수입점유비는 30.0%로 1년 전보다 3.3%포인트 올랐다. 자동차 국내공급은 지난해 연간으로는 4.0% 늘었지만, 3분기(-5.5%)와 4분기(-4.7%)에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에 감소세를 보였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