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지스타 2022, 11월 17일 개최…“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

조기 및 일반 접수 방식에서 차기년도(지스타 2023) 현장 접수 방식 신설
BTC 확대운영 목적, 제2전시장에 BTC-BTB 하이브리드 존 운영
전시 환경 개선, 부대행사 및 프로그램 확충 등 전시회 질적 향상과 발전 도모

 
지스타 2021 모습 [원태영 기자]
지스타조직위원회는 올해 ‘지스타 2022’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전과 같은 정상 개최의 원년으로 삼고 오프라인 전시를 확대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조직위는 현재 전시 및 공연 등 문화체육 행사가 빠르게 정상화되고 있다는 점, 3월 1일부터 시행된 ‘단계적 일상회복 지속을 위한 1차 개편’의 전시‧박람회의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이 대폭 축소됐고 향후 더 완화될 수 있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했다.
 
기존 조기 접수와 일반 접수라는 2단계 참가 신청 구조에서 현장 접수 단계가 추가돼 지스타 2022가 개최되는 벡스코 현장 사무국에서 ‘지스타 2023’에 대한 참가 신청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향후 지스타는 접수 시기에 따라 현장 접수, 조기 접수, 일반 접수 총 3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신설된 현장 접수를 사전에 홍보하고 시범 적용을 위해 올해 한시적으로 ‘슈퍼 얼리버드’라는 이름으로 2022년 4월 4일 오후 2시부터 지스타 2022에 대한 참가 신청 접수를 시작한다.
 
아울러 조직위는 BTC 전시 공간의 확대를 결정했다. 지스타 2021 BTC관(제1전시장)에 시범적으로 도입됐던 ‘BTC-BTB 하이브리드 존’을 확대해 제2전시장에 별도 운영하기로 했다. 일반 참관객들에게는 더 많은 볼거리와 체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접수 상황과 신청 규모 등에 따라 세부적인 위치 및 구역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조직위는 추가적인 참가 정책 개편을 계획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정상화되는 ‘지스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전시 환경 개선, 편의 시설 확충, 부대행사 및 연계 프로그램 확대 등에 대한 개선을 우선 목표로 하며 추가 개편 사항에 관해서는 홈페이지 등을 통해 별도로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지스타 2022는 11월 17일(목)부터 20일(일)까지 4일간 개최되며, 올해 시범적으로 시행되는 슈퍼 얼리버드 접수는 4월 4일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제계,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대립과 갈등 넘어 경제회복에 힘 모아야”

2‘미르4’부터 ‘레전드 오브 이미르’까지 블록체인 게임에 진심인 위메이드

3농협은행서 205억원 금융사고…외부인 대출상담사가 실행

4BYD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5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시작…무너진 민주주의 회복을"

6"정치적 그라운드 제로"…'尹 파면' 외신도 앞다퉈 보도

7탄핵 인용에 코스피 혼조, 코스닥 상승…정치 테마주 출렁

8국민의힘 "헌재 결정, 겸허히 수용…국민께 사과"

9헌정 사상 두 번째 탄핵...'재판관 전원일치' 尹 대통령 파면

실시간 뉴스

1경제계,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대립과 갈등 넘어 경제회복에 힘 모아야”

2‘미르4’부터 ‘레전드 오브 이미르’까지 블록체인 게임에 진심인 위메이드

3농협은행서 205억원 금융사고…외부인 대출상담사가 실행

4BYD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5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시작…무너진 민주주의 회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