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인수위 “국가 전략기술 연구개발, 민간에 지휘권 줄 것”

민간 전문가가 프로젝트 기획, 민관 공동 참여
연구개발 예비타당성 제도 신속·유연하게 개선

 
 
남기태 과학기술교육분과 인수위원이 21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국가 전략기술 초격차 R&D 및 디지털 국가전략 추진’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김상선 기자
새 정부가 공공 연구개발 지휘권을 민간에 넘긴다.  
 
남기태 인수위원(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은 21일 브리핑에서 “국가 전략기술에 대해선 민간 전문가에게 전권을 부여해 범부처 임무지향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기획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 전략기술이란 국가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할 기술을 뜻한다. 인수위는 ▶글로벌 선도 기업 지위를 지켜낼 ‘초격차 전략기술’에선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차세대원전·수소·6G가, ▶대체불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미래 전략기술’에선 바이오·우주항공·양자·AI·모빌리티·사이버보안을 후보로 꼽고 있다. 국가 전략기술은 새 정부에서 민관 합동으로 확정하게 된다.  
 
국가 전략기술로 지정하면 정부는 중·장기 기술개발 목표와 핵심인력 확보, 표준 선점 및 국제협력을 포함하는 전략 로드맵을 수립하게 된다. 기술별로 로드맵을 짜는 권한을 민간 전문가에게 부여한단 것이 인수위의 구상이다.
 
이와 함께 인수위는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예타) 제도를 신속·유연하게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예타조사기간을 단축하는 패스트트랙 제도 ▶예타 기준금액 상향 ▶사업 중이라도 기술 환경 변화를 고려한 사업계획 변경 등을 검토한다. 현재 사업비 총액이 500억원을 넘는 신규 연구과제는 예비타당성 검토를 받도록 하고 있다.
 
남 인수위원은 “미래 먹거리 창출과 국가 난제 해결에 기여할 전략적 기술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과 집중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국가 전략기술 초격차 연구개발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2"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3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4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5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6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7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8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9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실시간 뉴스

1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2"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3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4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5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