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기금제도 전담운용기관 선정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안정적인 퇴직금 지급…2026년 8월까지 전담

최현만(오른쪽부터) 미래에셋증권 회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강순희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서봉균 삼성자산운용 대표가 지난 28일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증권은 근로복지공단과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 전담운용기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는 상시근로자 30인 이하 중소기업의 사용자와 근로자가 납입한 부담금으로 공공의 기금을 조성·운영해 근로자에게 퇴직급여를 안정적으로 지급하는 국내 유일의 퇴직연금기금제도이다. 30인 이하 중소기업의 퇴직연금 도입률을 현재 24%에서 2030년 44%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미래에셋증권은 2005년 국내 퇴직연금 도입시부터 회사의 자본과 인력을 집중해 퇴직연금제도의 성공적 안착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6월 우수한 운용성과를 입증받아 새롭게 시행되는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의 전담운용기관으로 선정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번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 자산관리서비스 인프라 구축, 기금 IPS 수립, 자산배분, 위험관리, 성과평가 등 운용 관련 자문 및 지원, 기금 홍보·마케팅, 사업장·가입자 대상 세미나 등 제도확대 관련 자문 및 지원 등이다. 미래에셋증권은 2026년 8월까지 전담운용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은 “퇴직연금 사업의 노하우를 기금 규모확대 지원에 활용하고, 글로벌투자 경험과 리스크관리 능력으로 기금의 성공적 운용을 도와 중소사업장 근로자의 안정적 노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는 월평균 보수 230만원 미만 근로자에 대해 최초 가입한 날부터 3년간 사용자부담금 10%를 지원하고 0.2% 이하의 낮은 수수료를 적용한다. 

박경보 기자 pkb23@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실시간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