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타워 부활 가시화…뉴삼성 기대감↑[조직개편 임박한 삼성①]
대외 불확실성 확대…대형 M&A 등 결단 필요성
미전실 과오 씻을까…“이전과 다른 준법체계 필요”

재계에서는 삼성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회장 취임과 함께 올해 조직개편을 통해 컨트롤타워를 재건할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를 통해 삼성이 그룹 차원의 경쟁력 제고와 지속가능성 확보에 사활을 걸 것이란 분석이다.
이재용, 그룹 아우르는 행보에 기대감↑
삼성은 지난달 26일 삼성전자 사장단과 SDI·전기·SDS·디스플레이 등 전자 계열사 사장, 삼성생명·증권·카드 등 금융 계열사 사장 등 40여명은 경기도 용인에 있는 인재개발원에 모여 외부 강사 강연을 듣고 최근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삼성 사장단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2020년 6월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부터 노사관계 강연을 들은 이후 약 2년 만이다.
여기에 이재용 부회장이 사실상 경영 일선에 복귀하면서 이 부회장이 그룹을 이끌기 위한 조직이 새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징역 2년 6개월과 함께 5년간 취업제한을 적용받아 경영 활동에 상당한 차질을 빚었다. 하지만 올해 광복절을 맞아 단행된 사면복권 대상자에 포함되며 취업제한이 해제됐다.

삼성은 과거 비서실과 전략기획실, 미전실 등 시기마다 이름은 달랐지만 컨트롤타워를 별도로 두고 그룹을 경영해왔다. 그러다 지난 2017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총수 일가의 승계를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은 이후 미전실을 해체했다. 현재는 그룹 전체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는 없는 상태다. 미전실은 해체 당시 부서 인력만 250명에 육박할 정도로 그룹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했다.
미전실 해체 이후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업지원(삼성전자), 금융 경쟁력 제고(삼성생명), 설계·조달·시공(ERC) 경쟁력 강화(삼성물산) 등 분야별로 3개의 TF를 조직해 일상적인 경영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내놓는 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TF의 경우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기존의 컨트롤타워와 달리 별도 권한이 없어 그룹 차원의 시너지를 끌어내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컨트롤타워를 중심으로 경영 효율화를 꾀한 주요 그룹들과는 대조적이다. SK의 경우 그룹 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SK수펙스추구협의회를 통해 계열사를 지원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기획조정실이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전장 등 신사업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는 LG그룹 역시 지주회사인 ㈜LG가 중심이 돼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관건은 ‘준법경영’
특히 국정농단 사태 이후 기업의 준법경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점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이 때문에 삼성이 컨트롤타워 내부에 별도의 준법 부서를 마련해 준법위와 직접 소통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경영 정상화와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선 컨트롤 타워 재건이 시급하다”며 “다만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완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