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교통지옥’ 위례·동탄 등 신도시 37에 교통난 해소 대책 '이것'

국토부 신도시 37곳 집중관리지구 지정…단기대책 내놔
GTX·지하철 개통 전까지 2층 전기버스·수요응답형 버스 도입

 
 
경기도 고양시 일산 신도시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위례·동탄·광교 등 교통난이 심각한 37개 신도시를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12일 2기 신도시를 포함해 128개 지구의 광역교통 현황을 전수 조사해 교통난 개선이 시급한 곳 37곳을 집중관리지구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입주시기와 GTX 등 광역교통 확충 시기가 맞지 않아 출퇴근 ‘교통지옥’이 특히 심각한 지역을 대상으로 버스를 늘리는 단기 대책부터 내놓기로 했다.  
 
이미 입주가 진행됐거나 1년 내 입주가 예정된 곳 중 철도 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되는 등 교통난이 특히 심각한 특별대책지구는 24곳, 교통서비스 하위 지구로 분류된 곳은 13곳이다. 특별대책지구 지정요건에 해당하는 24개 지구에는 ▶남양주 별내 ▶하남 감일 ▶위례 ▶화성 동탄2 ▶평택 고덕 ▶수원 호매실·광교 ▶파주 운정3 ▶인천 검단 ▶고양 향동·지축·원흥 등이 포함돼 있다.
 
이들 지역에는 광역버스를 늘리고 출퇴근 전세버스와 2층 전기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늘리고 운행노선·횟수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수요응답형 버스(DRT)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GTX·지하철 개통 전까지 빠르게 배치할 수 있는 버스부터 확충하겠다는 취지다.  
 
국토부는 내년 1분기까지 10개 집중관리지역에 대한 교통난 대책을 차례로 내놓을 예정이다.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단기간에 시행할 수 있는 대책부터 마련하고, 이게 불가능하면 특별대책지구로 지정해 보완책을 내놓기로 했다.  
 
일반관리지구에는 성남 판교, 고덕 강일, 하남 풍산 등 69곳이 지정됐다. 정부는 이들 지역에선 광역버스 협의체를 운영해 입석 현황을 분석하고 광역버스 증편 때 우선적으로 고려할 계획이다. 입주시작까지 1년 이상 남은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등 22곳은 중장기 관리지구로 지정된다.  
 
강희업 대광위 상임위원은 “도로·철도는 시설 확충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주민들의 출퇴근 불편을 단시간 내 완화할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송재민 기자 song@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고물가에 아침밥 부담”...GS25, 저렴한 ‘바삭 김밥’ 재출시

2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3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4“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5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6“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7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8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9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실시간 뉴스

1“고물가에 아침밥 부담”...GS25, 저렴한 ‘바삭 김밥’ 재출시

2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3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4“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5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