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카카오페이, ‘핀테크 업계 최초’ 유엔글로벌콤팩트 가입

국내 핀테크사 중 UNGC 가입 최초 사례…글로벌 ESG 경영 강화
인권·노동·환경·반부패 등 UNGC 10대 원칙 내재화
지역사회 소통 통한 사회와 지속 가능한 성장 도모

 
 
13일 판교 카카오페이 오피스에서 열린 UNGC 가입증서 전달식 (왼쪽부터)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 [사진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 UNGC)에 가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카카오페이의 UNGC 가입은 국내 핀테크 업계에서는 최초 사례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13일 판교 카카오페이 오피스에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와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UNGC 가입 증서 전달식을 진행했다.
 
UNGC는 유엔의 세계 최대 자발적 기업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로, 지속가능성과 기업시민의식 향상을 위해 현재 전 세계 177개국 2만여 개 기업 및 기관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이번 UNGC 가입을 계기로 4대 분야 10대 원칙을 기업 경영 전반에 내재화하고, 사용자·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지속가능 경영 성과를 담은 이행보고서(COP)를 투명하게 공개할 방침이다.
 
특히 지역사회 내 금융 소외계층과 소상공인 대상의 금융교육, 금융 서비스 지원 등의 소통을 통해 사회와 기업이 상생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는 “이번 UNGC 가입을 시작으로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ESG 경영을 책임 있게 이행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회적 가치를 전사적 차원에서 녹여내고 카카오페이와 사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핀테크 업계 최초로 가입한 카카오페이의 UNGC 참여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며 “이를 계기로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을 한층 더 강화하고, 핀테크 업계를 선도하는 회사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카카오페이는 지난 5월 ESG 추진위원회 신설했다. 지난달 자발적으로 5년 치 스콥(Scope) 1, 2, 3 배출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핀테크 업계 최초로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을 완료했다. 또 최근에는 금융소외 계층과 소상공인을 위한 상생기금 10억원 조성을 발표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2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3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4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5‘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6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

7퓨리오사AI 방문한 이재명...“중요한 건 먹고 사는 문제, 희망 보인다”

8한미약품, 美 AACR서 비임상 연구 성과 11건 발표

9네이버,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한국의 핫플 소개하는 ‘비로컬’(BE LOCAL) 캠페인 선보여

실시간 뉴스

1'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2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3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4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5‘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