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소득대체율 높은데”…주택연금제도, 저소득층 가입 비율 낮아

공시지가 2억 미만 주택 가입자 25.8% 불과
수도권·아파트 중심 가입 경향 강화 추세

 
 
[게티이미지뱅크]
주택연금제도가 높은 소득대체율에도 불구하고 낮은 가입률, 심각한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택연금 가입자 중 공시지가 2억 미만에 해당하는 가입자 비율은 2019년 30.3%에서 2020년 29.4%, 2021년 18.3%, 2022년 7월 기준 12%로 점차 감소해 최근 5년간 25.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연금은 소득이 마땅치 않아 현금 유동성이 떨어지는 고령자가 본인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매달 국가가 보증하는 연금을 받는 제도로 2007년 도입됐다. 주택연금은 고령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집에 살면서도 국가로부터 연금액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발행한 입법과 정책(제13권 제3호, 2021.12.31.)에 따르면 주택연금 가입자 및 잠재 가입 대상자 모두 주택연금을 통한 소득보장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국민연금과 주택연금을 합산한 총 소득대체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저소득자 거주자에게 주택연금이 추가 노후소득 마련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셈이다.
 
주택연금 가입자의 지역별 편차도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7월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거주하는 주택연금 가입자의 비율은 70.3%에 이르렀다. 가입자 10명 중 3명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셈이다. 이런 수도권 쏠림 현상은 해가 지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연금 가입자의 수도권 집중화의 원인으로는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구조 ▶수도권과 비수도권 주택의 담보 주택 가치 차이에 따른 월 지급금 차이 ▶비수도권의 금융 인프라 차이 ▶단독주택 등의 감정평가 어려움 등이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단독주택의 경우 토지 가치와 건물 가치를 따로 평가해야 하므로 자산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감정평가사를 고용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실제 최근 5년간 주택연금 담보주택의 80% 이상이 아파트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주택연금은 특히 월평균 소득액이 2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에서 소득대체효과가 높았다”며 “주택연금 가입을 늘리는 동시에 저소득 고령자, 비수도권 거주 고령자의 가입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5년간 주택가격별 주택연금 가입현황. [사진 김성주 의원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은 기준금리 ‘깜짝 인하’…이창용 “어려운 결정했다”(종합)

2"피임 잘해야겠다…" 이선옥 작가, 문가비 정우성에 일침?

3한미사이언스 임시 주총에 쏠리는 눈…오후 개회 예정

4저축銀 3분기 누적 순손실 3636억…전년比 2090억↑

5나만의 롤스로이스 만드는 ‘프라이빗 오피스’, 전 세계 네 번째로 서울에 문 연다

6컴투스 '스타시드: 아스니아 트리거', 글로벌 160여개국 서비스 시작

7엔씨소프트, ‘독립 개발 스튜디오’ 체제 출범…4개 자회사 설립 확정

8DL이앤씨, ‘아크로 리츠카운티‘ 분양 예정

9프리드라이프, AI 자서전 무료 제작 이벤트 진행

실시간 뉴스

1한은 기준금리 ‘깜짝 인하’…이창용 “어려운 결정했다”(종합)

2"피임 잘해야겠다…" 이선옥 작가, 문가비 정우성에 일침?

3한미사이언스 임시 주총에 쏠리는 눈…오후 개회 예정

4저축銀 3분기 누적 순손실 3636억…전년比 2090억↑

5나만의 롤스로이스 만드는 ‘프라이빗 오피스’, 전 세계 네 번째로 서울에 문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