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스톡옵션 이익 1위는 ‘카카오’...주요기업들 임원, 1조 시세차익 얻어

카카오 1312억원 1위·카카오페이 785억원 2위
개인별로는 김종흔 데브시스터즈 대표 475억 1위

 
 
카카오그룹이 스톡옵션 행사이익 규모 1위를 차지했다.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 모습. [연합뉴스]
지난 2년 6개월 동안 국내 주요 기업 89곳의 전·현직 임원들이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해 벌어들인 이익 규모가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 규모 1위는 카카오그룹이었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시총 500대 기업(6월 30일 기준)의 스톡옵션 행사이익은 총 9794억원으로 집계됐다. 
 
CEO스코어는 시총 500대 기업이 스톡옵션을 부여한 172곳 중 행사 내역을 알 수 있는 89곳을 조사했다. 조사 대상은 전·현직 임원(계열사 포함)이다. 직원은 제외했다. 행사이익은 스톡옵션 행사일 종가에서 행사가격(회사가 미리 정한 실제 매수가격)을 뺀 금액을 주식 수와 곱해 계산했다.
 
기업별로 보면 스톡옵션 행사이익 규모 1위는 카카오였다. 카카오는 2020년 170억원(11명), 2021년 351억원(10명), 올해 상반기 792억원(8명) 등 1312억원을 기록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1000억원을 넘겼다. 카카오페이(785억원, 8명) 등 계열사 3곳을 합하면 카카오그룹의 행사이익 규모는 2560억원으로 전체의 26.1%에 달했다.  
 
이어 에코프로비엠 682억원(14명), 하이브 658억원(2명), 셀트리온헬스케어 588억원(7명) 등도 스톡옵션 행사이익 규모가 컸다.
 
개인별로는 김종흔 데브시스터즈 대표가 475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류영준 카카오페이 전 대표 409억원, 윤석준 하이브아메리카 대표 384억원, 여민수·조수용 카카오 전 대표가 각각 362억원, 338억원 순이었다.  
 
스톡옵션 행사이익 규모가 큰 개인 상위 5명 중 3명이 카카오그룹 임원이었다. 류영준 카카오페이 전 대표 등은 지난해 11월 말 스톡옵션을 행사하고 12월 초 대량 매도했다. 경영진의 대량 지분 매각이 ‘단기 고점’ 신호로 받아들여지면서 카카오페이 주가는 급락했다.  
 
한편 금융위원회에서는 상장사 임원 등 내부자의 대량 주식 매각으로 인해 주가가 급락하는 사례가 나타나면서 올해 3월부터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를 통해 취득한 주식도 상장 후 6개월 간 매도를 제한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또 금융위는 상장사 내부자 지분거래를 사전에 공시하도록 제도를 개편할 예정이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57회 로또 1등 ‘5, 7, 12, 20, 25, 26’…보너스 ‘28’

2“자기야 드라이브 접자”…휘발유·경유 16주 연속 상승

3“치어리더 계약금이 선수 4배?”…‘삐끼삐끼’ 이주은, 대만 야구팬 사이 논쟁

4국립한글박물관 증축공사 중 화재…4시간 만에 큰 불길 잡아

5미국서 또 항공 참사…필라델피아 쇼핑몰 인근 소형기 추락

6 해경 “제주 좌초 어선 2척서 15명 중 현재 10명 구조”

7이재명 “김대중·노무현처럼 AI도 투자 선제 대응해야”

8“성능은 참 좋은데”…대만 ‘딥시크’ 사용 금지령, 다른 나라도?

9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옥상 화재…진압 소방대원 1명 병원 이송

실시간 뉴스

11157회 로또 1등 ‘5, 7, 12, 20, 25, 26’…보너스 ‘28’

2“자기야 드라이브 접자”…휘발유·경유 16주 연속 상승

3“치어리더 계약금이 선수 4배?”…‘삐끼삐끼’ 이주은, 대만 야구팬 사이 논쟁

4국립한글박물관 증축공사 중 화재…4시간 만에 큰 불길 잡아

5미국서 또 항공 참사…필라델피아 쇼핑몰 인근 소형기 추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