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정호연 백’ ‘김희애 백’ 다 올랐다…루이비통, 고환율에 ‘기습’ 가격인상

루이비통, 알마BB·카퓌신·트위스트MM 등 가격 인상
인상폭은 3% 안팎, 지갑·스카프류도 1~3만원 올라
LVMH 그룹 명품 브랜드 펜디도 가격 6% ↑

 
 
27일 업계에 따르면 루이비통은 이날부터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인상 폭은 3% 안팎으로 전해졌다. [사진 루이비통 캡쳐]
 
프랑스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이 기습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올랐고, 치솟는 원·달러 환율이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루이비통은 이날부터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인상 폭은 3% 안팎으로 전해졌다. 루이비통 대표 입문백으로 불리는 ‘알마 BB’는 218만원에서 225만원으로 약 3.2% 인상됐고, 지난 2020년 드라마 ‘부부의 세계’에서 배우 김희애가 착용하며 유명해진 카퓌신 라인도 일제히 올랐다.  
 
‘카퓌신 MM’ 가격은 955만원에서 984만원, ‘카퓌신 BB’는 889만원에서 916만원, ‘카퓌신 미니’는 805만원에서 829만원으로 각각 3%씩 올랐다.
 
‘정호연 백’으로 불리는 ‘트위스트 MM’ 가격은 620만원에서 639만원으로 인상됐다. 고가 라인에 속하는 ‘트위스트 PM’의 가격은 553만원에서 3.1% 오른 570만원으로 책정됐다. 스피디 반둘리에 25 사이즈는 226만원에서 233만원으로 올랐고, 삭 플라 BB·다이앤 두 상품도 293만원에서 3.1% 오른 302만원이 됐다.  
 
핸드백뿐만 아니라 지갑류, 스카프류도 1~3만원 정도 가격이 함께 올랐다. 루이비통 외에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그룹의 명품 브랜드들도 줄줄이 가격을 조정하고 있다. 같은 계열의 명품 브랜드 펜디는 최근 가격을 6%가량 올렸다. 지난 2월 이후 8개월 만의 가격 인상으로, 대표 제품인 바게트백은 390만원에서 413만원으로 올랐고, 몬트레조 미니백도 245만원에서 260만원으로 인상됐다.
 
명품 업계가 가격 인상에 나서는 이유는 환율 상승으로 인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강달러에도 명품 수요는 꾸준히 호조세다. LVMH는 지난 11일(현지시간) 3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늘어난 197억6000만달러(약 28조1580억원)를 기록했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실시간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