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 내년엔 더 춥다…1%대 성장률 예상
전경련 '2023년 경제‧산업 전망'세미나 개최
글로벌 통화긴축 영향에 따른 경기침체가 본격화하면서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도 1%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격랑의 한국경제, 전망과 진단’을 주제로 개최한 2023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에서 조동철 KDI 교수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현재(2022년 8월 기준) 2.1%이지만, 전망치를 1%대로 낮출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2023년도 한국경제 전망’에 대한 주제발표를 맡아 “IMF 등 국제기구들이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이후 수출 위주의 회복세를 보인 한국경제에 좋지 않은 여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한국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 요인으로 수출 증가세 축소, 가계부채 부실화에 따른 민간소비 둔화를 꼽았다. 특히 수출의 경우 “글로벌 경기 침체의 여파로 증가율이 상당폭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코로나19 방역완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으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 취약계층들의 한계상황 직면, 주택가격 조정 등 리스크 요인이 크다”고 전했다.
박석길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통화긴축에 따른 금리와 환율 전망’을 통해 “내년 초 미국 정책금리 상단은 4.75%, 한국 기준금리는 3.7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원화 가치는 약세가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미국이 당분간 통화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은행도 미국과의 과도한 금리 차이를 방지하기 위해 11월부터 향후 세 차례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p씩 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도체의 경우 재고 조정 여파로 메모리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는 상황인데, 내년 DRAM과 NAND는 공급업체들이 설비투자를 보수적으로 진행하면서 2023년부터 상황이 나아질 전망이다. 자동차는 지난 2년간 반도체 공급 부족 및 누적 대기수요로 수혜를 봤지만, 내년에는 자동차 생산이 정상화하는 가운데 소비가 위축되면서 업종 손익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철강은 국내의 경우 자동차 생산 증가 및 선박 건조 확대로 자동차, 조선의 수요 호조가 기대되는 반면, 주택거래 위축 및 경기침체 우려로 건설, 가전 등의 수요 부진이 예상된다. 이 밖에 석유화학은 원유, 가스, 석탄 등 에너지 가격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금리 상승과 수요 위축, 중국의 공급 증가가 겹쳐질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졌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2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3"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4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
5 제주항공 사고기 음성기록장치, 충돌 4분 전부터 “저장 無”
6부부 연기가 현실로...20년 만에 재결합 “묘한 인연 느껴”
7‘탄핵 딱 질색이니까’ 노래 부르는 윤대통령 등장 ‘화들짝’
8속도가 도시를 바꿀까
9‘가짜 면허 파문’ 파키스탄 항공…‘에펠탑 여객기 충돌’ 광고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