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 LG‧GM 배터리 합작사에 음극재 수주
9393억원 규모…2028년까지 인조흑연 음극재 공급

이번 공급 계약에 따라 포스코케미칼은 얼티엄셀즈에 2023년부터 2028년까지 6년간 포항공장에서 생산한 인조흑연 음극재를 공급한다. 인조흑연 음극재는 천연흑연 음극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배터리 충전 속도가 빠르고 수명은 길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소재로 활용되는 이유다. 인조흑연 음극재는 원료 조달이 어렵고 제조 비용이 높아 주로 중국에서 생산해왔으나, 포스코케미칼이 2021년 12월 연산 8000t의 포항공장을 준공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천연흑연 음극재는 원료로 가공해 입자가 층을 이뤄 쌓인 판상형 구조로, 입자 구조 사이에 공간이 많아 에너지 저장 용량이 강점인 음극재다. 포스코케미칼이 지난 2011년부터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는 소재다.
포스코케미칼은 흑연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탄소 소재 자회사인 피엠씨텍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원료 공급과 최종 소재 생산을 아우르는 사업 구조를 구축한 것이다. 독자 개발한 제조 기술과 스마트 팩토리 공정 도입으로 제조비용은 줄이고 실시간으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침상코크스는 제철 공정의 코크스 제조 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콜타르를 고온 건류해 만드는 인조 흑연 원료다.
포스코케미칼은 배터리 소재 분야 경쟁력을 무기로 자동차‧배터리업체와의 협력을 확대해 북미‧유럽 현지에서 음극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등 권역별 공급망 강화 정책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 현재 연산 8만2000t의 음극재 생산 능력을 2025년 17만t, 2030년 32만t까지 늘릴 계획이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국내 유일의 음극재사로서 원료부터 소재 생산까지 완전한 가치 사슬 완성하고,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갖춘 사업 경쟁력이 수주 결실로 이어졌다”며 “독자적인 기술과 원료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사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양·음극재 사업을 균형 있게 성장시켜 글로벌 톱 티어 배터리소재사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2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3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4“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5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6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7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8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9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