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유니콘 25%는 핀테크, 한국은 생각나는 기업 없어"[이코노 인터뷰]
정유신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장, 미래먹거리로 디지털 금융시장 선점 강조
유연 규제로 성장 발판 마련해줘야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반도체처럼 범시장적인 차원에서 우리만의 경쟁력을 가진 히트작이 또 나와야 한다.”
‘디지털’이란 말이 익숙해진 21세기, 이제 전세계 국가는 한차원 넘어선 ‘디지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혈안이다. 이 시장에서 앞선 자가 미래먹거리를 선점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서다.
한국의 디지털 경쟁력 현주소는 어디 쯤일까. 정유신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장(전 한국핀테크지원센터장)은 ‘한국만큼 디지털에 최적화된 나라가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 이후 디지털과 3차 산업의 융합, 그 중에서도 ‘금융’과 결합한 디지털금융 서비스가 우리의 미래먹거리인 만큼 더이상 성장을 미룰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창조는 곧 융합서 나와…핀테크 정책 유연성 필요
정 원장은 디지털이 제조 및 건설 분야를 뺀 금융, 유통, 부동산 등 모든 3차 산업과 연결돼 ‘융합 산업’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3차 산업과 디지털이 만나 새로운 혁신이 나올 수 있다는 주장이다. 비즈니스적인 개념에서 ‘창조’의 정의는 기존의 틀을 모두 깨는 ‘파괴적 혁신’이 아니라 기존 것과 새 것의 융합에서 나오는 ‘시너지 혁신’이 돼야한다는 얘기다.
이런 맥락에서 정 원장은 디지털과의 융합 매개체로 3차 산업 중 국민 생활 속에 깊게 스며들어 있는 ‘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 원장은 “디지털 시대에서는 소비자들이 금융플랫폼에서 금융은 물론, 문화와 예술, 유통, 교육과 부동산 서비스까지 모두 해결이 가능해야 한다”면서도 “전 세계 유니콘기업 25%가 금융과 디지털이 결합된 핀테크지만 우리는 사실상 토스를 빼면 생각나는 기업이 없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들에게 가장 강력한 로열티를 줄 수 있는 분야가 금융인 만큼 이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자연스레 금융과 디지털의 만남인 핀테크로 이야기가 옮겨졌다. 정 교수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핀테크지원센터 센터장을 맡는 등 이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전문가다. 그런 그에게도 핀테크사들의 규제 완화 이슈는 ‘풀지 못한 숙제’다. 여전히 빅테크든 스몰테크든 많은 핀테크사들이 지금 이시간에도 금융규제에 막혀 신사업 전개에 애를 먹고 있다.
정 원장은 “핀테크 태동기와 달리 최근에는 규제를 완전히 없애주는 등의 움직임이 많이 약해진 것은 사실”이라며 “워낙 경기가 어렵고 금리 상황도 악화돼 정부 입장에서 완전 규제 완화를 하기엔 리스크가 너무 큰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초기 스타트업들이 태동 후 사업이 일찍 좌초되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험과 역량이 부족한 벤처투자자(VC)가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은 사실상 ‘아기가 아기를 돌보는 것’과 같다는 지적이다. 그는 “정부가 초기 스타트업 투자에 인센티브를 높여준다던지 투자생태계를 기업 단계별로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핀테크 업계의 특성을 고려한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핀테크에게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자금 조달, 손익분기점(BEP), 그리고 인력 관리인데 자금 조달 부문이 매우 취약한 편”이라며 “정부는 핀테크 지원 예산이 없기 때문에 민간자금이 활성화될 수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밝혔다.
규제 철폐로 신사업 발판 마련해야
그는 현재의 구조에서 핀테크업계를 주시하는 민간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더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자금조달 시 활용되는 기업공개(IPO)에서도 핀테크 투자자들이 수익을 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얘기다. 정 원장은 “앞으로의 디지털 신사업 영역의 성공과 실패 주기는 갈수록 더 짧아질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핀테크에 투자해 10~15년이나 기다려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기업 엑시트(자금회수) 비중을 보면 인수합병(M&A)이 80%고 IPO는 20%에 불과하다”며 “우리도 IPO가 아닌 M&A로 투자자들이 수익을 볼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 원장은 올해도 우리 경제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며 정부가 하루 빨리 신산업 육성을 위한 발판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국민들이 보다 유연한 시각으로 핀테크 규제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개인정보 활용을 예로 들어 과도한 규제가 성장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디지털금융 사회에서는 개인정보가 쌓여 만들어진 데이터가 곧 경쟁력이고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라면서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한 데이터를 핀테크사들이 이용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국민적 공감대가 더 쌓여야 한다”고 밝혔다. ‘사생활 침해’가 없는 선에서의 개인의 동의를 얻은 개인정보 활용은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어 “이런 규제들 때문에 유럽에서 구글이나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회사가 나오지 못하는 것”이라며 “이것, 저것 모두를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정부가 시간을 끌다가는 한국이 이러한 신사업 국가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디지털’이란 말이 익숙해진 21세기, 이제 전세계 국가는 한차원 넘어선 ‘디지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혈안이다. 이 시장에서 앞선 자가 미래먹거리를 선점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서다.
한국의 디지털 경쟁력 현주소는 어디 쯤일까. 정유신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장(전 한국핀테크지원센터장)은 ‘한국만큼 디지털에 최적화된 나라가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 이후 디지털과 3차 산업의 융합, 그 중에서도 ‘금융’과 결합한 디지털금융 서비스가 우리의 미래먹거리인 만큼 더이상 성장을 미룰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창조는 곧 융합서 나와…핀테크 정책 유연성 필요
정 원장은 디지털이 제조 및 건설 분야를 뺀 금융, 유통, 부동산 등 모든 3차 산업과 연결돼 ‘융합 산업’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3차 산업과 디지털이 만나 새로운 혁신이 나올 수 있다는 주장이다. 비즈니스적인 개념에서 ‘창조’의 정의는 기존의 틀을 모두 깨는 ‘파괴적 혁신’이 아니라 기존 것과 새 것의 융합에서 나오는 ‘시너지 혁신’이 돼야한다는 얘기다.
이런 맥락에서 정 원장은 디지털과의 융합 매개체로 3차 산업 중 국민 생활 속에 깊게 스며들어 있는 ‘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 원장은 “디지털 시대에서는 소비자들이 금융플랫폼에서 금융은 물론, 문화와 예술, 유통, 교육과 부동산 서비스까지 모두 해결이 가능해야 한다”면서도 “전 세계 유니콘기업 25%가 금융과 디지털이 결합된 핀테크지만 우리는 사실상 토스를 빼면 생각나는 기업이 없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들에게 가장 강력한 로열티를 줄 수 있는 분야가 금융인 만큼 이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자연스레 금융과 디지털의 만남인 핀테크로 이야기가 옮겨졌다. 정 교수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핀테크지원센터 센터장을 맡는 등 이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전문가다. 그런 그에게도 핀테크사들의 규제 완화 이슈는 ‘풀지 못한 숙제’다. 여전히 빅테크든 스몰테크든 많은 핀테크사들이 지금 이시간에도 금융규제에 막혀 신사업 전개에 애를 먹고 있다.
정 원장은 “핀테크 태동기와 달리 최근에는 규제를 완전히 없애주는 등의 움직임이 많이 약해진 것은 사실”이라며 “워낙 경기가 어렵고 금리 상황도 악화돼 정부 입장에서 완전 규제 완화를 하기엔 리스크가 너무 큰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초기 스타트업들이 태동 후 사업이 일찍 좌초되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험과 역량이 부족한 벤처투자자(VC)가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은 사실상 ‘아기가 아기를 돌보는 것’과 같다는 지적이다. 그는 “정부가 초기 스타트업 투자에 인센티브를 높여준다던지 투자생태계를 기업 단계별로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핀테크 업계의 특성을 고려한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핀테크에게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자금 조달, 손익분기점(BEP), 그리고 인력 관리인데 자금 조달 부문이 매우 취약한 편”이라며 “정부는 핀테크 지원 예산이 없기 때문에 민간자금이 활성화될 수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밝혔다.
규제 철폐로 신사업 발판 마련해야
그는 현재의 구조에서 핀테크업계를 주시하는 민간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더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자금조달 시 활용되는 기업공개(IPO)에서도 핀테크 투자자들이 수익을 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얘기다. 정 원장은 “앞으로의 디지털 신사업 영역의 성공과 실패 주기는 갈수록 더 짧아질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핀테크에 투자해 10~15년이나 기다려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기업 엑시트(자금회수) 비중을 보면 인수합병(M&A)이 80%고 IPO는 20%에 불과하다”며 “우리도 IPO가 아닌 M&A로 투자자들이 수익을 볼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 원장은 올해도 우리 경제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며 정부가 하루 빨리 신산업 육성을 위한 발판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국민들이 보다 유연한 시각으로 핀테크 규제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개인정보 활용을 예로 들어 과도한 규제가 성장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디지털금융 사회에서는 개인정보가 쌓여 만들어진 데이터가 곧 경쟁력이고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라면서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한 데이터를 핀테크사들이 이용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국민적 공감대가 더 쌓여야 한다”고 밝혔다. ‘사생활 침해’가 없는 선에서의 개인의 동의를 얻은 개인정보 활용은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어 “이런 규제들 때문에 유럽에서 구글이나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회사가 나오지 못하는 것”이라며 “이것, 저것 모두를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정부가 시간을 끌다가는 한국이 이러한 신사업 국가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주월드, 2025 APEC 앞두고 식품안심존 운영
2구미시, 광역환승 요금제 시행..."광역철도 환승 50% 할인"
3포항 한우, 대한민국 대표 한우로 우뚝 서다
4獨 브로제 코리아, 대구테크노폴리스에 둥지 틀다.
5경북 청송군, 항일 의병의 넋 기리는 ‘푸른 솔’ 공연
6주택보유자 2.9% 종부세 낸다…작년보다 5만명 늘었다
7KB금융, 대전광역시와 ‘소상공인 맞춤형 저출생 정책 지원’ 협약
8 여야, 내달 10일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의결하기로
9강남 월세가 94만원인데...서울 최고가는 '이곳' 입이 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