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파키스탄 PTA 자회사 1924억원에 매각
“스페셜티 소재 사업 강화 위해 비핵심 사업 매각”

PTA는 원유를 정제해 얻은 파라자일렌(PX)을 원료로 활용해 산화‧정제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순백색 분말의 제품을 말한다. 강한 내열성, 뛰어난 내수성과 절연성이 특징으로, 폴리에스터 섬유와 산업용 원사, 페트병, 산업용 필름 등에 쓰인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LCPL 지분 매각으로 확보한 자금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페트(PET) 등의 고부가화를 비롯해 스페셜티 사업 확대 및 친환경 소재 사업군 진출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사업 경쟁력을 위해 2020년 하반기부터 울산 PTA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설비 전환을 통해 고순도 이소프탈산(PIA)를 생산해왔다. 이번 LCPL 매각으로 PTA는 생산하지 않게 됐다. PIA는 PET, 도료, 불포화 수지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제품이다. 롯데케미칼의 PIA 연간 생산 규모는 52만t으로 글로벌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실시한 기자간담회를 통해 2030년 매출액 50조원 목표를 밝히고, 고부가 스페셜티와 친환경 소재 사업에서만 전체 매출의 60%에 해당하는 약 30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이번 해외 자회사 매각은 비전 2030 전략 방향에 맞춘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은 비전 2030 전략에 따라 재무적 목표인 매출액 50조원과 비재무적 목표인 탄소 감축 성장을 위해 사업 체질 변화를 진행 중이다. 분리막용 PE, PP 및 에틸렌초산비닐(EVA) 등 친환경 고부가 전략 제품 판매 확대와 수소에너지 사업, 배터리 유기용매 등 미래 신사업의 조기 정착을 위해 핵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2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3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4“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5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6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7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8하이브 방시혁, 3개월 만에 주식 5000억원 늘었다...총수 주식 살펴보니
9“놀이공원 반값에”…신한카드, 봄나들이 시즌 이벤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