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브레인AI, 국내 최초 ‘AI 도지사’…경상북도청과 함께 구현
도지사 대신 공지사항 안내·영상 메시지 등 전달
텍스트 인식·영상 합성·답변 게재 원스톱 진행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딥브레인AI는 음성 및 영상 합성·자연어 처리·음성 인식 기술 등을 기반으로 하는 휴먼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딥브레인AI는 그간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오세훈 서울시장, 문재인 전 대통령,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당 대표 등 정치권에서 다양한 인물들을 AI 휴먼으로 선보인 바 있다.
이번엔 도지사를 AI 휴먼으로 구현했다. 지난해 초 이철우 도지사와 경상북도청은 ‘메타버스 수도 경북’ 비전을 선포하고 입지를 다져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딥브레인AI는 완성도 높은 AI 휴먼 제작을 위해 정치·경제·일상 등 모델과 다양한 주제를 담은 맞춤형 스크립트를 활용해 딥러닝 학습을 진행했다. 그 결과 목소리 톤과 억양은 물론 외모·입모양·감정 표현·제스처까지 자연스러운 ‘AI 이철우 도지사’를 완성했다고 전했다.
경상북도청은 AI 이철우 도지사를 활용해 ▶주요 도정 ▶공지사항 안내 ▶영상 메시지 ▶열린 도지사실 답변 등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오프라인에서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실제 이 도지사를 대신해 온라인상에서 도민들과 직접 소통하게 된다.
특히 딥브레인AI는 레스트(Rest)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활용해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AI 휴먼을 통한 열린 도지사실 민원의 영상 답변이 가능하게 했다.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내 텍스트로 기재된 답변 인식 ▶AI 휴먼을 활용한 영상 합성 과정 등을 거쳐 ‘답변을 게재하는 것’까지 원스톱으로 완료된다.
장세영 딥브레인AI 대표는 대표는 “최근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바쁜 일정으로 본인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AI 휴먼을 찾는 분들이 부쩍 늘고 있다”며 “자사는 모델에 따른 맞춤형 스크립트 제작과 레스트 API 방식 활용 등 AI 휴먼의 범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을 통해 누구나 보다 쉽고 편리하게 AI 휴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