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입법 애로에 “정부 부동산 연착륙 대책 제한적”
국회 입법조사처 보고서…“금리인상→주택수요제약→주택시장침체 구조 형성”

정부가 부동산 세제·금융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부동산 시장 연착륙에 나섰지만 효과가 제한 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입법 애로 및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주택 수요를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란 전망이다.
22일 국회 입법조사처의 '최근 부동산시장 동향 및 리스크 요인과 정책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산업조사실 장경석·박인숙 입법조사관은 정부의 지난 3일 거래규제 완화 등 주택시장 활성화 대책에 대해 “상당수의 규제 완화가 입법사항이고 금리 인상에 따른 수요위축으로 정책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우선 여소야대(與小野大)의 현 국회 상황에서 법률 개정 추진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가령, 재건축부담금 면제금액 상향은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 다주택자 중과세율 완화는 소득세법·종부세법·지방세법, 등록임대 사업자 세제지원강화는 민간임대특별법·조세특례제한법 등 야당이 반대하는 법 개정이 선결 과제라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또 “'금리인상 → 주택수요제약 → 주택시장침체'의 논리적 구조가 형성됐다”며 “금리인상 억제 없는 주택시장 연착륙에 어려움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아파트 등록임대사업자제도 부활 및 세제지원 확대 정책의 신뢰성·실효성도 문제로 지적됐다.
아파트 임대사업자 등록제도가 '장려(2017)→폐지(2020)→부활(2023 예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부동산가격 하락 시기에 임대의무기간(10년)·임대료 인상 제한(연 5%)·임대보증금반환보험 의무가입 등 각종 규제를 받는 주택 매입 의사를 끌어올리기엔 부족할 것이란 분석이다.
규제지역 및 다주택자 중과세율 완화에 대해서도 “주택가격 하락국면에서는 집주인은 과거 주택구매가격 기준으로 손해를 보고 팔지 않으려는 심리가 작용한다”며 “거래가 이뤄지더라도 서울 강남 지역 등 전통적으로 주택 수요가 있는 지역에 집중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2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3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4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5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6‘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7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8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9"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