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올해도 오를 것”…수출기업 10곳 중 4곳 전망
전경련 조사…지정학적 리스크·수요 확대 등 요인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국내 주요 수출기업 상당수는 올해도 원자재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23년 주요 기업 원자재·공급망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42.7%가 올해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29일 밝혔다.
4.7%는 원자재 가격이 ‘매우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고, 38.0%는 ‘다소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 기업은 29.3% 수준이었다. 다소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답한 기업은 28.0%였다.
원자재 가격 상승 요인으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무력 침공 장기화 등 지정학적 리스크(28.1%)와 코로나 팬데믹 감소에 따른 수요 확대(28.1%)가 꼽혔다. 미국의 긴축 정책이 이어지면서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 상승에 대한 우려(26.6%)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밖에 탄소중립 및 친환경 트렌드에 따른 신규 수요 증가(9.4%), 각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원자재 확보 부담 증가(4.7%)가 뒤를 이었다.
원자재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 절반은 글로벌 경기침체가 예상되기 때문(54.8%)이라고 답했다. 현재 원자재 가격 수준이 너무 높음은 수준이라서(28.6%)와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9.5%)를 이유로 든 곳도 있었다.
원자재 수급 안정화에 필요한 정책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구매·수입 관련 금융·세제 지원(28.8%)을 꼽았다. 환율·금리 등 거시경제 지표 안정화(26.1%), 원자재 가격 및 수급 정보 제공(14.4%), 해외자원 개발 등 안정적 원자재 공급 지원(13.2%)을 지목한 응답자도 있었다.
올해 상반기 공급망 여건은 작년과 유사할 것으로 내다본 기업이 62.7%로 다수였지만, 19.3%는 악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작년보다 나아지겠다고 예상한 비율은 18.0%로 집계됐다.
공급망 위험 요소로는 인플레이션에 따른 원가 상승 등 원자재 가격 변동(29.2%)과 금리 인상·환율 변동성 등 금융·외환 불안정성(17.2%)이 지목됐다. 공급망 대응 대책으로는 공급처 다양화(37.7%), 전담조직 및 인력 강화(15.4%)를 꼽은 기업이 많았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 공급망 충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모니터링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