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국소 지혈제 연구자 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48시간 이내 급성 출혈 예방

그린플라스트큐는 혈장 유래 성분의 액체형 국소지혈제다. 국내 유통되는 제제 중 유일한 국내 제조 품목이다. 국가출하승인을 통해 공급되는 안전한 제품이라는 설명이다.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사전 충전형 주사기)로 2㎖과 4㎖ 제형이 있다. 수술 및 시술 부위에 따라 다른 용량을 사용할 수 있다. 약가는 경쟁 제품보다 최대 43% 저렴하다고 했다.
ESD는 위나 대장, 식도의 용종, 선종 등을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시술이다. 부작용으로는 출혈이 흔하게 발생한다. 대량 출혈은 예측하기 어렵고, 출혈이 많으면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시술을 할 때 충분히 예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번 연구는 조수정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연구책임자를 맡았다.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20년 10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진행됐다. 위 종양 환자 중 위암 조직의 크기가 40㎜ 이상이거나 항혈소판제, 항응고제를 복용해 출혈이 쉽게 발생하는 고위험군 환자 254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종양 절제 및 일반적 지혈 이후 그린플라스트큐를 도포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대해 시술 후 출혈 발생을 비교하는 무작위 대조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시술 이후 48시간 이내 출혈 발생 비율은 대조군에서 5.7%로 나타났다. 그린플라스트큐를 도포한 시험군은 0.8%의 환자에서만 출혈이 발생했다. 고위험군 환자에 시술하면 48시간 이내 발생하는 출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조 교수는 “위암의 조기 발견으로 개복 수술보다 ESD가 증가하고 있다”면서도 “항혈소판제 및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고위험군 환자들은 ESD 이후 지연 출혈이 생기지 않도록 철저하게 출혈을 예방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번 연구에서 전체 출혈율은 차이가 없었지만, 그린플라스트큐를 사용해 48시간 내의 급성 출혈에 효과가 있었다”며 “ESD 시술 후 절반 이상이 48시간 내 출혈임을 고려하면, 고위험군 시술 시 그린플라스트큐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ESD 이후 추가 치료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최초의 임상 연구로서 가치가 크다”며 “ESD에서 출혈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 옵션이 부족했던 만큼 그린플라스트큐가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2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3"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4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5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6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7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8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9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